스팀(STEEM/KRW) 차트를 절차적으로 분석해 드릴게요
아래는 60분·240분·일봉을 순서대로 보며, 추세–모멘텀–변동성–수급–매매 시나리오까지 단계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해석
- 초단기론 191~193원 좁은 레인지에서 공방 중이고, 일봉에선 195~205원까지 저항 레벨이 촘촘히 깔려 있어 윗단이 무겁습니다.
60분봉
- 단기 이동평균선들이 우상향하며 가격이 중단선 위에서 유지.
- 최근 캔들이 상단 밴드 근처로 붙었다가 눌림. 단기 상승 추세는 살아 있으나 과열 후 숨 고르기 구간.
240분봉
- 저점과 고점이 계단식 상승. 단기·중기선 정배열 진행.
- 상단 193원에 근접한 상태로 “전고–저항 테스트” 국면.
일봉
- 바닥권(170대)에서 반등해 중단선 위 회복.
- 다만 192~205원 구간에 과거 밀집 저항이 다층으로 존재. 추세 전환 초입이지만 돌파에는 거래 에너지가 더 필요.
요약
- 단기: 상승 추세 유지
- 중기: 전환 시도
- 상위 저항 밀집으로 위쪽은 단계별 확인 필요
RSI
- 60분봉: 60 근처로 둔화. 과열 해소 중이지만 상방 모멘텀의 골격은 남아 있음.
- 240분봉: 65 근처. 강세권 진입 후 첫 조정 신호 가능.
- 일봉: 55 근처. 중립+상향 여지.
MFI(자금 유입)
- 60분봉: 60대 중후반. 유입 우세지만 단기 피로감.
- 240분봉: 80대. 과열 신호, 단기 차익 실현 경계.
- 일봉: 70대 초반. 유입이 살아 있으나 일봉 기준에선 ‘돌파 확인형’ 자금이 더 필요.
해석
- 하위 주기 과열 → 짧은 흔들림 가능성. 상위 주기는 아직 여유.
의미
- 돌파 직후 확장보다는, 한두 구간의 조정/횡보로 에너지 재축적 가능성이 높음.
요약
- 단기 수급은 “상승에 베팅 + 차익 실현 혼재”. 일봉 돌파를 위한 결정적 볼륨은 아직.
트리거
- 강세 시나리오: 193원 종가 안착 → 195원 돌파 후 지지 전환 확인 시 200원 테스트
- 약세 시나리오: 191원 종가 이탈 → 189원까지 스윙 조정 열림
보수적 매수(우상향 추세 따라가기)
- 진입: 191.5~192원 눌림 분할(2~3회), 191 이탈 시 손절 또는 비중 축소
- 확인추가: 193원 상방 안착 후 소량 추격 가능
- 청산: 195 1차, 199~200 2차, 204~205 분할
- 리스크: 191 하향 종가 마감 시 노출 위험 증가
공격적 매수(돌파 추격)
- 트리거: 195원 양봉 종가 돌파 + 거래 증가 동반
- 손절: 193 재하향 시 신속 철수
- 목표: 200, 205 순차
단기 공방 스캘프
- 범위: 191~193 박스. 하단 매수–상단 매도 왕복, 단 스탑은 191 종가 이탈.
보유자의 대응
- 손익관리: 191 종가 기준으로 이익 보호. 195 돌파 시 비중 일부 증가 고려, 200 부근 강한 저항 예상되니 분할 익절 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