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오전(약 09:05) 기준 STEEM/KRW 차트(제공한 60분·240분·일봉 스크린샷)를 바탕으로 단계적·절차적 사고로 꼼꼼히 분석합니다. 각 타임프레임별 관찰 → 해석 → 실전 행동(조건·손절·목표) 순서로 제시하며, 지지·저항, 모멘텀·수급, 리스크 관리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모든 수치는 스크린샷 판독 기반 추정이므로 실제 주문 시 호가창으로 최종 확인하십시오.
요약(한줄)
- 60분: 단기 상승 흐름과 거래량 회복이 관찰되어 단기 트레이드 기회 존재.
- 240분: 중기 저항(구름대·이평선) 근처로 확대 전 확인 필요.
- 일봉: 장기 하락 축이 유지되는 가운데 소폭 반등 시도 — 일봉 지표만으로는 추세 전환 불충분.
- 전략: 단기 분할 진입 → 중기·일봉 저항 돌파(거래량 동반) 확인 시 확대. 손절·분할익절 필수.
1) 분석 전제(무엇을 보고 분석했는가)
- 입력자료: 사용자가 올려주신 60분·240분·일봉 스크린샷(2025-11-26 오전).
- 확인 지표: 캔들(시·종·고·저), 거래량(봉 + MA), MA(5/10/20/60/120), 이치모쿠(구름대), RSI(14), MFI(14), ATR(14).
- 분석절차: 각 타임프레임별로 1) 관찰 → 2) 해석 → 3) 권장 행동(조건·손절·목표)을 제시. 모든 레벨은 시각 판독 추정치.
2) 60분 차트(단기) — 절차적 분석
- 관찰
- 연속적인 중~대형 양봉이 나오며 가격이 단기 MA(5·10·20) 위로 정렬되어 상향 흐름을 보입니다.
- 최근 봉들에서 거래량이 회복·증가하는 모습(직전 거래량 봉이 평균 대비 큼).
RSI(60m)는 중립~상승권(약 59~60 수준 추정), MFI는 80 수준 근방으로 자금 유입 강함을 시사. ATR(60m)은 소폭 상승으로 단기 변동성 확대.
해석
거래량 동반한 연속 상승과 MA 정렬은 단기 모멘텀 개선을 의미합니다. 다만 MFI·RSI가 높은 편으로 단기 과열 신호 가능성(되돌림 위험) 존재. 단기적으로는 ‘상승 추세이나 과열 경계’ 상태.
권장 행동(조건·손절·목표)
- 진입 조건: 60분에서 최근 지지(약 109–110 수준 유지) 확인 또는 단기 작은 풀백(리트레이스)에서 분할 진입 권장.
- 1차 진입 예시: 1차 분할 110–111 구간(총 목표의 30–40%).
- 추가 진입: 1차 진입 후 가격이 5·10 MA 위에서 안정될 때 추가(두 번째 분할).
- 손절: 60분 지지(직전 저점) 하회 시(예: 107 이하) 청산 권고.
- 부분익절: 단기 저항(약 113–116)에서 일부 익절, 잔량은 중기 신호로 관리.
3) 240분 차트(중기) — 절차적 분석
- 관찰
- 4시간 차트상으로 구름대가 가격 위에 존재하고 중기 MA들이 가격권 위·근처에 있어 상방 저항층 형성.
- RSI(240)는 상승추세로 전환되는 듯하나 중립권에 머무름(약 60 근접은 아님). 거래량은 최근 단기 스파이크 후 평균으로 복귀하는 양상.
MFI(240)는 중기 자금 유입이 과거 스파이크보다는 약한 편.
해석
중기적으론 아직 저항 우위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60분의 상승이 중기 추세 전환으로 연결되려면 240분 기준 구름대·중기 MA(차트상 약 116–120 영역으로 추정)를 거래량을 동반해 상향 돌파하고, 돌파 후 리테스트에서 지지 전환이 확인되어야 신뢰도가 상승합니다.
권장 행동(조건·손절·목표)
- 확대 기준: 240분/일봉에서 구름대·중기 MA(≈116–120) 거래량 동반 돌파 후 리테스트에서 지지 확인 시 포지션 확대(분할로 잔량 투입).
- 돌파 실패 시 행동: 돌파 직후 반락 또는 리테스트 실패 시에는 즉시 부분익절 또는 포지션 축소 권장.
4) 일봉 차트(장기) — 절차적 분석
- 관찰
- 일봉상 장기 이평선(특히 중·장기선)과 구름대가 가격 위에 위치하여 강한 저항층을 형성.
- 최근 몇일간 소폭의 반등 캔들이 있으나 일봉 거래량은 과거 스파이크에 비해 작고 지속성 약함.
일봉 RSI는 낮은 수준에서 소폭 회복(약 35 수준), 일봉 MFI는 하락 이후 약간의 반등이나 강한 자금 유입은 아님. ATR(일봉)은 완만히 낮아져 장기 변동성 감소.
해석
장기적으로는 아직 추세 전환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일봉 기준으로 신뢰할 만한 상승으로 보려면 구름대·장기 MA를 거래량을 동반해 돌파하고 며칠간 종가가 그 위에 머무르는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권장 행동(조건·손절·목표)
- 장기 포지션 확대: 일봉 저항(구체 레벨은 호가창 확인) 돌파 + 연속 종가 마감(2~3일) 확인 시 고려.
- 장기 보유자는 분할 매수로 평균단가를 관리하되, 큰 하방 리스크 대비 손절 규칙(절대가 또는 %)을 사전에 설정.
5) 핵심 지지·저항(스크린샷 기반 추정)
- 현재가(스크린샷 표기): 약 115 (KRW 기준 표시).
- 단기 지지(우선): 109–111 (60분 직전 저점·단기 MA 인근)
- 중기 지지: 106–109 (240분 박스 하단 및 MA 근처)
- 단기 저항: 113–116 (최근 고점군, 단기 MA군)
- 중기 저항: 116–120 (구름대 하단·중기 MA)
- 일봉 핵심 저항: 약 138 이상(장기 MA·과거 매물대)
(정확 주문가는 실시간 호가로 미세 조정 필요)
6) 절차적 매매 시나리오(규칙 기반)
7) 리스크 관리(절차적 체크리스트)
- 포지션 사이징: 손절 기준 계좌 손실 1~3% 권장. 손절폭으로 진입수량 산출.
- 손절 사전 설정: 진입 전 반드시 손절가 고정, 감정적 미루기 금지.
- 분할 진입·분할 익절: 평균단가와 심리 관리를 위해 권장.
- 이벤트 및 수급 확인: 온체인 대형 이체·거래소 공지·프로젝트 뉴스·비트코인 시황 등은 급변동 요인 — 이벤트 전후에는 포지션 축소 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