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STEEM/KRW) 차트 절차적 분석(일·주·월봉 종합)
올려주신 세 타임프레임을 같은 기준으로 풀어드립니다: 상황 정의 → 구조 점검 → 시나리오 → 실행 기준 → 체크리스트 순서예요.
전제: 최근 강한 반등 1봉 이후 2차 되돌림-재도전 국면. 변동성(일봉 ATR 약 5.5)이 고점 대비 완화되어 가짜 돌파/가짜 이탈 가능성이 있는 박스 톤입니다.
일봉
- 가격/이평: 5일선 재진입 후 10·20일선(하향 기울기) 아래에서 캔들 저항 확인 중. 176~179대가 단기 분수령.
- 볼린저: 하단에서 중단선으로 복귀 시도. 중단선 하향이라 저항성이 높습니다.
- 오실레이터:
- RSI 약 45로 중립 하단에서 회복 시도.
- MFI 약 45로 자금 유입이 개선 중이지만 과열은 아님.
- 거래량/ATR: 반등봉에 증가 후 보통 수준. ATR 5.5대로 급락장 대비 안정화.
해석: “반등 파동의 연장선.” 179원 위 일봉 종가 안착이면 183~186 재시험 기대, 실패 시 172~173 재확인 가능.
주봉
- 흐름: 장기 하락 채널 하단 인접에서 옆걸음. 주봉 5·10주선이 가격 위에 눌러 있어 상단 저항이 두텁습니다.
- 오실레이터: RSI 저중단(40대 초반~중반), MFI 고역(70대 근처)로 위 구간에서 매도 공급 가능성 시사.
- 해석: 주봉은 “바닥권 횡보” 톤. 주봉 마감이 180~183 이상에서 이루어지면 완만한 저점 상향 구조가 살아납니다.
월봉
- 구조: 수년 박스 하단대를 재방문한 뒤 저점 부근 압축. 월봉 5·10개월선 모두 위에 있어 중기 반전에는 시간 필요.
- 오실레이터: RSI 43대, MFI 60 전후. 방향성보다 ‘저점 방어 → 거래량 발생 시 스파이크’ 패턴 가능.
해석: 월봉은 리스크-리워드가 나쁘진 않으나, 촉발 거래량 없이는 완만한 박스 지속 확률이 큽니다.
상승 재개 시나리오(우호적)
- 트리거: 176.5~179 상단 저항대 돌파 + 일봉 종가 안착(거래량 동반)
- 목표/청산:
- 1차: 183~186
- 2차: 189~192(과거 스윙 고점/볼밴 상단 접근)
- 무효화: 175 하향 이탈 시 힘 약화, 172 종가 이탈 시 반등 시나리오 재평가
박스/조정 시나리오(중립)
- 트리거: 172~179 박스 유지, 캔들 몸통 축소·거래량 부진
- 대응: 172.5~173.5 매물대에서 반등 확인형 분할, 176.5~178.5에서 비중 축소/단타 차익
- 리스크: 박스 하단 이탈 시 하락 연장 전환
하락 연장 시나리오(비우호적)
- 트리거: 172 종가 하향 + 거래량 증가 동반
- 대응: 167~168 1차 지지 확인. 반등 미약하면 162~163 하단 밴드까지 열어두고 관망 후 재평가
진입
- 돌파 추세형: 179.0 상향 돌파 후 일봉 마감 확인 → 계획 물량 30~40% 진입, 183 재돌파 시 20% 추가
- 눌림 확인형: 172.8±0.5에서 저점 상향 + 거래량 유입 시 30~40% 분할
손절/축소
- 초기 관리: 174.4 이탈 시 30~50% 축소(단기 모멘텀 무너짐)
- 강손절: 171.8 일봉 종가 이탈 시 전량 정리
청산
- 1차: 183~186 도달 시 30~50% 익절
- 2차: 189~192 분할 청산
- 추세 추종: 잔량은 일봉 5일선 종가 이탈 시 트레일링 스탑, 혹은 60분 10이평 이탈로 단기 관리
포지션/리스크 팁
- 지금은 “박스 상단에서 저항, 하단에서 매수 유입” 구조이므로 추격매수보다 지지 확인형 접근이 유리합니다.
- 돌파 진입은 반드시 거래량 컨펌이 필요합니다. 평소 대비 뚜렷한 증가가 없으면 ‘찔끔 돌파 후 되밀림’ 확률이 큽니다.
- 변동성 축소 구간이라 손절은 너무 타이트하지 않게 호가 2~3틱 여유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