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KRW를 절차적으로 단계별 해석했습니다
한 줄 요약
- 초단기(60분)는 우상향 추세 유지지만 상단 밴드(≈186) 접촉 구간이라 피로가 쌓였습니다.
- 중기(240분)는 상단 밴드(≈187~188) 근접 + MFI 과열(≈96)로 “돌파냐, 반락이냐” 분기점.
- 일간은 여전히 175~186 박스권과 낮은 변동성(ATR↓)입니다. 일봉 종가 186 상향 안착 전 추격은 불리합니다.
해석: “추세는 살아있지만 수급 다이버전스”로 단기 되돌림 가능성.
240분
해석: 돌파 시 추세 가속 여지, 다만 과열·거래량 둔화가 반락 리스크를 키움.
일간
요약: 상·중 프레임 공통으로 “저항대 직전”이며, 단기 모멘텀은 긍정적이나 수급·변동성은 돌파 신뢰도를 낮춥니다.
176~178: 일간 박스 하단(이탈 시 하방 가속 우려)
저항
논리: 현재가 185는 1차 저항 바로 아래. 위로 갈수록 저항이 촘촘히 누적되어 “단계적 확인”이 필요합니다.
A) 돌파 추세추종 롱
- 트리거: 4시간 종가 186.5 상향 + 거래량이 20평균의 ≥1.5배.
- 진입: 돌파 직후 추격보다, 되돌림에서 185.8~186.2 지지 확인 후 분할.
- 목표: 1차 188.0, 2차 193.5~196.0.
- 무효화: 4시간 종가 185.5 하회 시 축소, 184.8 하회 시 전량 손절.
- 코멘트: 4시간 MFI 과열이라 “돌파-되돌림 확인”이 핵심입니다.
B) 상단 저항 반락 단타(역추세)
- 트리거: 185.8~186.5 구간에서 연속 윗꼬리·거래량 둔화 + 60분 RSI가 50 아래 재진입.
- 목표: 184.3 → 183.3~183.5.
- 무효화: 4시간 종가 186.5 상향 마감 시 즉시 전략 폐기.
- 코멘트: 역추세 스캘핑이므로 짧은 홀딩·엄격한 손절이 필수.
C) 박스 내 평균회귀 롱(저가 매수형)
- 트리거: 184.3 또는 183.3~183.5에서 핀바/장악형 양봉 + 거래량 반등.
- 목표: 185.8 → 186.5.
- 무효화: 60분/4시간 종가 182.8 하회 시 손절.
- 코멘트: 일간 박스장 특화. 기대수익은 얕지만 승산이 비교적 명확합니다.
D) 하방 재개 대비(보수적 숏/롱 회피)
- 트리거: 4시간 종가 182.0 하향 → 되돌림에서 182.0~182.5 재진입 실패.
- 목표: 180.5 → 178.0.
- 무효화: 183.5 재상회(4시간 종가) 시 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