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STEEM/KRW) 차트를 절차적으로 분석드리겠습니다 (2025-09-25 기준)
아래는 상위→하위 타임프레임(top-down)과 가격 구조→수급/모멘텀→변동성→트리거/시나리오→실행 체크 순서입니다. 첨부하신 일봉·240분·60분 차트를 기반으로 읽었습니다.
구조 해석: 장대 하락 후 174원 부근에서 짧은 반등 시도. 아직 하락 추세선(단기 5·10일선 하향) 아래에 있습니다.
240분
구조 해석: 급락 뒤 저점권 횡보. 상단으로 갈수록 공급이 촘촘합니다.
60분
한 줄 요약: 174원이 분수령입니다. 위로는 176.5~178원, 더 위 182~185원까지 저항이 단계적으로 존재합니다.
캔들: 장대 음봉 후 작은 양봉/도지 형태. 반등 여지 → 추세 전환 신호는 미흡.
240분
RSI: 37~40대. 약세권에서 완만한 회복 시도.
60분
해석: 수급은 “약반등·힘 빠짐”의 상태로, 위쪽은 공급이 우세합니다.
요약: 변동성 수축 구간입니다. 곧 이탈 방향으로 단기 추세가 결정될 공산이 큽니다.
보조: 60분 RSI 50 상회 유지, 5·10·20 이평의 수렴 후 상향 전환.
하방 재개 확인
메모: 추격은 거래량 동반일 때만. 178~179.5 구간 저항 대응 필수.
시나리오 B) 박스 매매(확률 중간~높음)
실패: 173.5 확정 이탈 시 즉시 축소.
시나리오 C) 하락 연장(리스크 시나리오)
1) 레벨: 174 지지, 176.5 돌파 여부 우선 확인.
2) 모멘텀: 60분 RSI 50 상회 유지되는지, MFI가 동반 상승하는지.
3) 거래량: 돌파/이탈 봉이 직전 평균 대비 확연히 증가하는지.
4) 변동성: 60분 볼린저 상·하단 이탈 후 2~3개 봉 연속 같은 방향 지속 여부.
5) 리스크: 진입 전 손절가 고정, 1회 손실 한도(R)로 수량 산정, 박스 내 과매매 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