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STEEM/KRW) 차트를 절차적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아래는 월봉 → 주봉 → 일봉 순서로 상·중·단기 구조를 정렬하고, 핵심 지지/저항, 모멘텀, 변동성, 시나리오, 계획 수립까지 단계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상위 구조 점검: 월봉(장기 트렌드)
- 추세
- 장기 하락 추세 속 저점대(약 180원대) 부근에서 수평 박스 하단을 재차 테스트 중으로 보입니다.
- 20·60월 이동평균이 캔들 상단에 위치해 중장기 하방 압력이 여전히 우세합니다.
- 지지/저항
- 핵심 장기 지지: 170~185원 구간(과거 여러 차례 바닥 지지 시도).
- 장기 첫 저항: 220원대, 그다음 300~340원대(과거 박스 중단·이평 밀집대).
- 모멘텀
- RSI가 50 이하의 약세권 가장자리. 과매도권은 아니지만 반등 여지는 존재.
- 거래량은 말라 있는 편으로, 장기 추세 반전 신호는 아직 미흡.
핵심 해석: 월봉은 “바닥권에서의 보합/반등 모색”이지만, 추세 전환 확정은 220원 상단 박스 돌파와 거래량 동반이 필요합니다.
2) 중기 구조: 주봉
- 추세
- 주봉에서도 하락 이후 긴 박스 횡보. 주가가 주봉 단기·중기 이평(5·10·20주) 근방에서 눌림/반등을 반복.
- 지지/저항
- 지지: 175~190원(최근 종가가 이 구간에서 수렴).
- 저항: 200원, 205원, 220원 순서로 저항대가 촘촘히 형성.
- 밴드/변동성
- 볼린저 밴드 하단에서 중단으로 되돌림 시도. 밴드 폭이 좁아져 있다가 점진적 확장 조짐은 있으나, 방향성 확정 전까지는 가짜 신호 위험.
- 모멘텀
- RSI 중립선(50) 부근으로 기어오르는 모습. 주봉이 50을 명확히 상향 이탈하고 유지되면 반등 신뢰도 상승.
핵심 해석: 주봉은 “바닥 박스 내 반등 시도”로, 200→205→220 순차 돌파가 관건입니다. 220원 종가 돌파 시 중기 추세 변화 신호로 해석 가능.
3) 단기 구조: 일봉
- 가격 위치
- 현재가 약 187원. 단기 저항 밀집(194원, 200원, 205원) 아래에서 캔들이 이평선 군과 얽혀 상승 재도전 중.
- 지지/저항(세부)
- 지지: 180~187원 박스 하단. 이탈 시 170원대 테스트 가능.
- 저항: 194원(최근 매물대), 200원(심리+직전 고점), 205원(상단 매물), 220원(상위 구조 전환선).
- 보조지표
- RSI 50대 중후반으로 단기 모멘텀은 개선. 다만 과열은 아님.
- MFI가 높은 구간에 근접해 있어 단기 위꼬리/조정 변동 가능성 염두.
- 거래량은 스파이크 이후 다시 감소세. 돌파에는 신규 수급 유입이 필수.
- 변동성
- ATR이 하향 안정화 후 미세 반등. 돌파 구간에서 변동성 확대 가능.
핵심 해석: 일봉은 “저점대에서 단기 반등을 이어가며 저항 테스트 단계”. 194~205 구간을 실체 캔들과 거래량으로 넘어서는지 확인이 포인트입니다.
4) 레벨 맵 요약
- 강한 지지: 170~185원
- 단기 지지: 180~187원
- 단기 저항: 194원 → 200원 → 205원
- 중기 분기점: 220원(주봉/월봉 공통 의미)
5) 시나리오 기반 전략
- 보수적 매수(분할 접근)
- 영역: 180~187원대 분할.
- 무효화: 종가 기준 170원 이탈 시 손절 또는 비중 축소.
근거: 다중 바닥권과 장·중기 지지대 겹침.
추세 추종 돌파 매수
- 트리거 A: 194원 장대 양봉+거래량 증가(20일 평균 대비 1.5배 이상) 시 소량 진입, 200원 돌파 시 추가.
- 트리거 B: 205원 종가 돌파 시 비중 확대.
핵심 확인: 돌파 후 이틀 이상 지지 테스트 성공.
단기 스윙 청산 구간
- 200원 1차, 205원 2차 분할 청산.
강세 이어지면 220원 부근에서 추가 청산 또는 전량 정리. 220원 돌파 후엔 되돌림 매수로 전환 가능.
리스크 관리
- 손절 기준: 170원 이탈(월봉 지지 파손) 또는 매수 평균가 대비 -7%~ -10% 탄력적 관리.
- 포지션 크기: 변동성 확대 구간이므로 총자본의 0.5~1R에 맞춰 분할.
6) 체크리스트(실전 확인 포인트)
- 거래량: 돌파 날 20일 평균 대비 최소 1.5배.
- 종가: 194/200/205/220 각각 “종가 안착” 확인이 중요.
- 주봉 RSI: 50 상향 돌파 후 유지 여부.
- 뉴스·이벤트: 비정상 급등 시 재료성 유입 확인(거래소 이슈, 상장/상폐, 메인넷·토큰 이코노미 변화 등).
7) 한 줄 결론
- 현재는 “장기 하락 후 바닥 박스의 상단을 두드리는 초입”. 194→200→205 단계 돌파에 거래량이 실리면 220원 재도전, 실패 시 180선 재확인 가능성이 큽니다. 보수적이면 바닥권 분할, 공세적이면 돌파 추종으로 접근하시되 170원 이탈 리스크를 명확히 관리하시는 걸 권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