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 시간대에서 단기 반등 신호가 관찰되나 중·장기 저항이 강하게 남아 있어 보수적 접근(소규모 분할 매수 + 엄격한 손절)이 합리적입니다.
목적: 현재 가격 흐름(추세 전환 여부)과 실전 매매 규칙(진입·손절·익절)을 명확히 도출
절차:
1) 추세(다중 시간대) 확인
2) 모멘텀(지표) 평가 — RSI, MFI 등
3) 거래량(신뢰도) 분석
4) 변동성(ATR)으로 손절폭 산정
5) 지지·저항(중요 가격대) 도출
6) 구체적 매매 시나리오 및 모니터링 규칙 제시
1) 추세(다중 시간대)
- 60분: 최근 연속적인 양봉과 단기 이동평균 정렬의 개선이 보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상승(반등) 흐름이 형성되는 중입니다.
- 240분: 저점 이후 완만한 회복이 관찰되나 상위 MA 및 구름대(일목·볼린저 상단 등) 아래에 머물러 있어 중기 전환으로 보기엔 신중해야 합니다.
- 일봉: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가 지속됐고, 최근 반등은 있으나 일봉 관점의 저항대가 여전히 강합니다.
판단: 단기 반등 → 중기·장기 저항 존재. 다중 시간대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므로 추세 전환 확정 전까지는 보수적 접근 권장.
2) 모멘텀(지표)
- RSI(60분): 단기 RSI가 55~65 수준으로 회복되어 모멘텀은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과열 신호(예: 70 이상) 전이라 추가 여지는 있으나 단기 조정 가능성도 존재.
- RSI(240분/일봉): 일봉 RSI는 저점에서 상승했으나 중립권에 머물고 있어 확실한 강세 전환은 미확인.
- MFI: 단기(60분)에서 자금유입이 확인되어 단기 매수세 강함. 일봉 MFI는 여전히 크게 상승하지 않아 장기적 자금 유입 확인 필요.
3) 거래량
- 단기 반등 구간에서 일부 양봉에 거래량 동반. 그러나 일관된 일봉 거래량 증가(추세 전환을 확증할 정도)는 아직 미흡함.
- 실전 원칙: 저항 돌파 시 일봉 거래량이 평소 평균 대비 1.5배 이상 동반되는지 확인해야 신뢰도가 높아짐.
4) 변동성(ATR)
- ATR(일봉)은 최근 급락 후 다소 낮아진 상태이나 변동성은 여전히 존재.
- 권장: 손절폭은 ATR 기반으로 산정(단기: ATR(60) × 1.5, 중기: ATR(日) × 1.5~2).
5) 지지·저항(중요 가격대)
- 현재가(스크린샷 기준): 117원
- 단기 지지: 약 108~103원(최근 저점·밴드 하단 근처)
- 단기 저항: 118~124원(단기 MA·볼린저 상단) — 현재가 바로 위에 존재
- 중기 저항: 126~132원(중기 MA 및 이전 지지 전환 구간)
- 핵심: 118원대 돌파·안정화 여부와 103원대 이탈 여부가 향후 방향성 판별의 주요 분기점
아래 규칙은 숫자·조건 위주로 절차적으로 따르시면 됩니다.
A. 보수적(권장)
- 조건: 신규 진입 보류. 일봉에서 126원 이상(중기 MA 대역)으로 안정 종가 마감 + 일봉 거래량 평균 대비 ≥1.5배일 때 분할 진입.
- 손절: 진입가 대비 8~12% 또는 일봉 기준 103~108원 구간 이탈 시 전량 정리.
- 목표: 1차 익절 126~132원, 2차 목표 140원대(중기 전환 확인 시 상향 조정).
B. 단기 스윙(허용 리스크 작게)
- 조건: 60분에서 연속 2개 이상 거래량 동반 양봉(또는 쌍바닥 확인) 시 소량 진입(계좌의 1~3%).
- 진입구간: 113~117원(단계적 분할).
- 손절: 103~108원 이탈 또는 진입가 - ATR(60)×1.5.
- 익절: 118~124원 구간에서 부분 익절, 잔여는 중기 흐름에 따라 유지.
C. 보유자(기존 포지션)
- 전략: 반등시 중기 저항(126~132원)에서 부분 익절로 리스크 축소. 손절은 103원 이탈 기준으로 엄격히 관리.
D. 숏 포지션(공매도/레버리지)
- 조건: 가격이 126원대에서 강하게 저항받고 반락할 때 숏 유지 가능. 반등이 거래량을 동반해 중기 MA 돌파 시 즉시 커버(손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