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기준 STEEM/KRW 차트를 다중시간대(60분·240분·일봉·주봉)으로 단계적·절차적으로 분석했습니다 — 현재는 저점권 횡보·약한 반등 시도 국면이며, 중·장기 저항이 강해 돌파 확인 전까지는 보수적 접근이 권장됩니다.
분석 전제(무엇을 보고 분석했는지)
- 기준 시점: 2025-11-19 오전(제공하신 차트 스냅샷 기준).
- 사용 타임프레임: 60분, 240분, 일봉, 주봉.
- 확인 지표: 캔들(시·종·고·저), 거래량(봉 + MA), 이동평균(MA 5/10/20/60/120), 볼린저·이치모쿠(구름대), RSI(14), MFI(14), ATR(14), 투자심리지표.
- 유의사항: 모든 수치는 스크린샷 시각 판독에 따른 추정치입니다. 실매매 전 실제 체결가·호가창 확인 권장드립니다.
1) 단계별 절차적 분석 — 60분 차트(단기)
1) 현재 상태 관찰
- 최근 몇 세션 동안 저점권에서 횡보 후 소규모 반등 캔들이 보입니다. 단기 이동평균들이 밀집되어 있어 방향성은 불명확합니다.
2) 거래량 확인
- 반등 구간에서 일부 거래량 증가는 있으나 지속성은 제한적입니다. 최근 캔들 거래량은 평균 또는 그 이하로 축소되는 경향.
3) 모멘텀(지표)
- RSI(60m): 약 45~50 수준으로 중립권에서 약간 회복한 상태.
- MFI: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아직 강한 자금 유입이라고 보기엔 애매함.
- ATR: 단기 변동성은 완만히 축소되는 모습.
4) 기술적 위치
- 가격이 볼린저 밴드 중하단~미들 근처에서 움직이고 있고, 단기 MA들이 저항으로 작동 중.
5) 단기 결론(절차적 판단)
- 즉시 공격적 매수보다는 지지 확인(저점 재확인) 또는 거래량을 동반한 강한 반등(큰 양봉 + 볼륨) 확인 시 소규모 분할 진입을 권장합니다.
2) 단계별 절차적 분석 — 240분 차트(중기)
1) 현재 상태 관찰
- 중기 이동평균과 이치모쿠 구름대가 가격 위에 있어 상방 저항으로 작동합니다. 최근 흐름은 하락 후 횡보·완만 회복 시도 중.
2) 거래량·모멘텀
- 며칠 전 큰 거래량 스파이크가 있었으나 이후 평균 거래량은 낮아졌습니다. RSI(240)는 중립 하단(약 35~42), MFI는 하락 압력 후 부분 회복.
3) 변동성(ATR)
- ATR은 과거 급변구간 이후 점차 완화 추세.
4) 기술적 위치
- 상단 저항대(구름대 하단·중기 MA)가 뚜렷하며, 이를 거래량으로 돌파할지가 중기 방향성 관건입니다.
5) 중기 결론(절차적 판단)
- 중기 매수는 ‘거래량을 동반한 상향 돌파 → 돌파 후 리테스트(지지 전환) 확인’이 확인될 때까지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3) 단계별 절차적 분석 — 일봉 차트(중장기)
1) 현재 상태 관찰
- 일봉상 전체적으로 하락 추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간헐적 반등이 있으나 일봉 기준 주요 장기 MA와 구름대가 상단에 남아 강한 저항을 형성합니다.
2) 거래량·모멘텀
- 일봉에서 대형 거래봉이 한 번 있었지만 그 뒤 거래량의 지속성은 부족합니다. 일봉 RSI는 약 35~40로 모멘텀은 약한 편, MFI는 최근 소폭 회복 중.
3) 변동성(ATR)
- 일봉 ATR은 반등 시점에서 상승했다가 다시 완화되는 경향.
4) 일봉 결론(절차적 판단)
- 일봉 관점의 추세 전환을 보려면 구름대·장기 MA를 거래량 동반으로 돌파하고 그 위에서 며칠간 종가 마감이 필요합니다. 현재는 ‘반등 시도’ 단계일 뿐입니다.
4) 단계별 절차적 분석 — 주봉·월봉(장기)
- 주봉: 장기 하락 사이클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주봉 거래량이 일부 회복되었으나 누적된 하방 압력을 완전히 해소하려면 더 큰 수급 유입 필요.
- 월봉: 장기 관점에서는 상방으로 여전히 많은 저항이 남아 있어 보수적 접근 권장.
- 장기 결론: 장기 포지션 확대는 주봉·월봉의 뚜렷한 추세 전환 신호(거래량과 함께 상향 돌파)가 확인된 뒤 고려하세요.
5) 핵심 지지·저항(스냅샷 기반 추정)
- 현재가(차트 표시 기준): 114 KRW(스크린샷 기준)
- 단기 지지: 111–113 KRW(최근 60분·일봉 저점군)
- 중기 지지: 110–112 KRW(240분 MA·박스권 하단)
- 단기 저항: 116–119 KRW(단기 MA·최근 고점)
- 중기 저항: 122–130 KRW(240분 구름대 하단·이전 매물대)
(참고: 수치는 스크린샷 기반 추정치입니다. 실거래 전 호가창으로 미세 조정하세요.)
6) 절차적 매매 시나리오(규칙 기반)
- 시나리오 A — 보수적 단기 분할 진입(저리스크)
- 진입 조건: 60분에서 111–113 지지 확인 + 거래량(평균 이상) 동반 반등 + RSI(60m) 상승(예: 50 이상) 동시 확인.
- 손절: 지지 하회(예: 110 또는 109 수준) 시 즉시 청산.
익절: 116–119에서 부분 익절, 잔량은 중기 신호(240m 돌파 여부)로 관리.
시나리오 B — 중기 추세 추종(돌파·리테스트)
- 진입 조건: 240분/일봉에서 122–130 구간(구름대·중기 MA)을 거래량을 동반해 상향 돌파하고, 돌파 후 리테스트에서 지지 전환 확인 시 분할 확대.
- 손절: 돌파 실패 시(리테스트에서 재하락) 청산.
목표: 이전 박스권 상단·다음 매물대까지 단계적 익절.
시나리오 C — 관망(리스크 최소화)
- 조건: 거래량·MFI 동시 회복, 일봉 기준 연속적인 종가 양봉 및 구름대 돌파 확인 전까지 무포지션 유지.
7) 리스크 관리(절차적 체크리스트)
- 포지션 사이징: 손절선 기준 계좌손실 1~3% 권장 — 손절 거리로 진입 수량 산출.
- 손절 사전 설정: 진입 전 반드시 손절가를 고정하고 감정적 조정 금지.
- 분할 진입·분할 익절: 진입은 2~3회 분할, 익절도 목표별로 분할 실행.
- 이벤트 모니터링: 온체인 대규모 이동·거래소 공지·프로젝트 공시·시장 뉴스(비트코인·글로벌 증시) 등은 급변동 원인 — 이벤트 전후 포지션 축소 권장.
8) 즉시 권장 액션(우선순위)
- 실제 거래 전 현재 호가창(매도·매수 잔량) 스냅샷을 캡처해 주세요 — 큰 매물벽·스탑헌팅 가능성 확인해 드립니다.
- 보유 중인 포지션(평단·수량)을 알려주시면: 손절가·목표가·포지션 사이징을 숫자로 계산해 드리겠습니다.
- 단기 트레이드 원하시면: 60분 지지(111–113)에서 거래량 동반 회복 확인 후 소규모 분할 진입을 권장합니다.
- 중기 투자 목표라면: 240분·일봉의 구름대·MA 돌파(거래량 동반) 확인 후 분할로 확대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