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steemcoin 25.11.12

neoniki1234 - 2025-11-12 00:40:03

STEEM/KRW 차트를 다중시간대(60분, 240분, 일봉)로 단계별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 추세 판단, 모멘텀·거래량 확인, 핵심 지지·저항, 매매 시나리오(진입·손절·목표), 리스크 관리 순으로 절차적으로 정리했습니다.


1) 준비 단계 — 어떤 데이터로 분석했는지



  • 시온님이 올려주신 화면에서 확인한 주요 요소: 60분·240분·일봉 캔들, 거래량, 이동평균선(단순 MA 다중 기간), 볼린저 밴드(Upper/Middle/Lower), RSI(14), MFI(14), ATR(14), 큰 거래량 스파이크.

  • 분석 범위: 단기(60분), 중기(240분), 장기(일봉). 각 타임프레임별로 동일한 순서로 절차적 분석 진행.


2) 60분 차트 — 단기 관측 (단계별)



  1. 추세:

  2. 최근 큰 양봉 후 약한 되돌림으로 보입니다. 전체적으로는 상승 시도 후 조정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3. 거래량:

  4. 큰 양봉에서 거래량 스파이크가 나타났고 이후 거래량은 급감. 이는 급락·상승 직후 매수/매도 세력이 빠르게 소진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5. 모멘텀(지표):

  6. RSI는 급격히 하락해 중립~약세권으로 돌아왔습니다(수치 약 47 정도 관찰). 모멘텀이 빠르게 식음.

  7. MFI도 하락 추세로 자금 유출 징후.

  8. 변동성:

  9. ATR이 상승 후 하락 중 — 단기 변동성은 정리 국면으로 축소.

  10. 기술적 위치:

  11. 캔들들이 중간 이동평균(예: 20MA) 근처에서 횡보. 볼린저 밴드 가운데선(미들) 부근에서 가격이 머무름.

  12. 해석:

  13. 단기적으로는 되돌림(조정) 지속 가능성 높음. 상승추세로 전환하려면 거래량을 동반한 상승과 RSI 회복이 필요.


3) 240분 차트 — 중기 관측



  1. 추세:

  2. 최근의 급등·조정이 눈에 띄며, 이동평균선 간격은 좁혀진 상태. 중립~상향 전환 시도 중이나 확실치 않음.

  3. 거래량/모멘텀:

  4. 대량 거래가 한 시점에 몰리며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 흔적 있음. RSI는 중간(약 53)으로 과열은 아님.

  5. MFI는 상단 근처에서 내려오는 모양(자금 유입 후 정체).

  6. 변동성:

  7. ATR이 급등했다가 일부 완화 — 단기 큰 이벤트 후 안정화 시도.

  8. 해석:

  9. 중기적으로는 한 번의 이벤트성 급등으로 추세가 흔들린 상황. 상방 재시도는 가능하나 재료·수급 확인이 필요.


4) 일봉 차트 — 장기 관측



  1. 추세:

  2. 일봉상 장기간 하락 추세에서 최근 대량 거래로 인한 강한 양봉 출현. 그러나 이전 하락 추세선·이평선(장기 MA, 구름대 등)은 상방 저항으로 남아 있음.

  3. 거래량:

  4. 일봉에서 매우 큰 거래량 스파이크가 관찰됨 — 대형 세력의 매수/매도 개입 가능성.

  5. 모멘텀:

  6. RSI와 MFI가 급상승했으나 일봉에서는 과열로 보일 수 있어 되돌림 위험 존재.

  7. 변동성:

  8. ATR 큰 상승 — 장기적으로 변동성이 증가한 상태.

  9. 해석:

  10. 장기 관점에서는 반등 시도이나 이전 저항(이평선·구름대)에서 강한 저항을 받을 확률 있음. 추세 전환 확인 전까지는 보수적 접근 권고.


5) 핵심 지지·저항(절차적으로 도출)



  • 단기 지지: 최근 저점(60분 캔들 저점) 약 118~120원 대 근처.

  • 중기 지지: 240분/일봉의 단기 이평(예: 20MA)에 해당하는 약 119~122원.

  • 단기 저항: 최근 양봉 고점 약 141원 부근(60분 차트에서 상단).

  • 중기 저항: 240분 상단 혹은 단기 일봉 저항군 약 129~139원 구간.

  • 핵심 심리선(심리적 가격): 130원 부근(매물과 저항·심리적 구간).


(정확한 수치는 차트 확대·복수 지표 확인 시 미세 보정 필요)


6) 매매 시나리오(절차적 매매 규칙 기반)



  • 전제: 시온님은 다중시간대 추세 확인과 모멘텀 지표 확인을 선호하심을 반영.


시나리오 A — 단기 스캘프/숏 리스크 보수적 접근

- 진입: 60분 차트에서 가격이 지지(118–122원)에서 거래량 증가와 함께 반등 확인 시 부분 진입.

- 손절: 지지 하향 이탈(예: 116원 손절) — 계좌·포지션 크기에 따라 리스크 1~2%로 설정.

- 목표: 단기 저항(129~134원)에서 부분 익절, 이후 상황에 따라 추세 확인 후 추가 매도.


시나리오 B — 중기 트레이드(추세 전환 베팅)

- 진입: 240분 또는 일봉에서 거래량을 동반한 종가 마감으로 이전 저항(130원대)을 상향 돌파했을 때 진입(돌파 후 리테스트 확인 권장).

- 손절: 돌파 실패 시 리테스트 저점(예: 120원대 아래) — 손절폭은 ATR 기반(예: 1.5x ATR) 계산.

- 목표: 상단 저항대(과거 주요 레벨 또는 1차: 150원, 2차: 170원 등)로 분할 목표 설정.


시나리오 C — 관망(리스크 최소화)

- 조건: 거래량 회복·RSI 상승·MFI 자금 유입 동시 확인 시까지 관망. 특히 일봉의 장기 이평선 돌파 신호를 기다림.


7) 리스크 관리·포지셔닝(절차적 체크리스트)



  • 포지션 크기: 계좌대비 리스크(손절 기준) 1~3% 권장.

  • 손절 설정: 명확한 가격(예: 지지 하향 시)으로 고정, 감정적 미룬 금지.

  • 분할 진입·분할 익절: 진입은 2~3 분할, 익절은 목표별 분할로 리스크·리턴 조절.

  • 이벤트·뉴스 모니터링: 대량 거래 스파이크는 외부 뉴스/상장·대형 지갑 이동 가능성이므로 온체인·뉴스 확인 필수.


8) 확인해야 할 추가 체크(데이터 보완 요청)



  • 온체인 큰 지갑 이동(대량 입출금) 여부 확인.

  • 거래소별 시세·호가 차이(글로벌 시세와 3% 이상 차이 경고가 화면에 보임) — 호재·에러 구분.

  • 최근 공시·프로젝트 관련 뉴스(상장·소식)에 따른 이벤트성 스파이크인지 확인.

  • 원하시면 제가 온체인 트랜잭션과 뉴스 검색으로 추가 확인해 드리겠습니다.


9) 권장 액션 플랜 (단계별)



  1. 단기: 즉시 매매 보수적 접근 — 현재 포지션이 없다면 관망 또는 지지에서 소규모 진입.

  2. 중기: 240분·일봉의 돌파와 거래량 확인 시 추가 매수(분할).

  3. 항상: 손절 라인 사전 설정, 포지션 사이징 엄수.

  4. 추가 요청 시: 온체인/호가창/거래소별 주문대 차트(체결 내역) 분석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