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STEEM/KRW) 차트를(일·주·월 타임프레임 포함) 단계적·절차적 사고로 꼼꼼히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목적은 (1) 추세 전환 여부 판단, (2) 반등의 신뢰도 판단(거래량·모멘텀), (3) 실전에서 쓸 수 있는 절차적 매매 규칙(진입·손절·익절) 도출입니다. 분석은 아래 절차(스텝)를 반드시 순서대로 확인하도록 구성했습니다.
분석 절차(따를 순서)
1. 다중시간대 추세 확인(일 / 주 / 월)
2. 모멘텀 지표 확인(RSI, MFI) — 시간대별 수치 관찰
3. 거래량으로 신뢰도 평가(특히 일·주봉)
4. 변동성(ATR)으로 손절폭 산정
5. 핵심 지지·저항 가격대 도출(숫자화)
6. 시나리오별 절차적 매매 규칙(조건 → 행동 → 손절/목표)
7. 모니터링·알림 포인트 및 주문 전 체크리스트
무엇을 확인할지: 각 시간대에서 이동평균(MA), 구름대(이치모쿠), 캔들 구조(양/음/큰봉·윗꼬리/아랫꼬리)와 고저점 추세를 순서대로 확인합니다.
관찰 요약(스크린샷 근거)
- 일봉: 전반적 하락 추세 속 최근 큰 양봉과 함께 거래량 증가가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위쪽에 중장기 MA·구름대(저항 레이어)가 남아 있습니다. 현재 표시 가격은 126원 수준입니다.
- 주봉: 장기적으로 지속된 하락이며, 주봉 지표는 약세(하향) 유지. 최근 주봉 거래량은 소폭 회복하나 큰 전환 신호는 아님.
- 월봉: 장기(월) 관점에서는 장기 하락 축적 상태로, 구조적 반등을 기대하기엔 상단 갭·MA가 멀리 있습니다.
판단(절차적 결론)
- 다중시간대가 완전히 동조해 상승으로 바뀌려면 일봉 반등 → 주봉·월봉의 저항 구간 통과가 확인되어야 합니다. 현재는 일봉 반등 신호가 보이지만 주·월봉의 구조적 약세가 남아 있어 ‘부분적 반등’으로 판단합니다.
무엇을 확인할지: 각 시간대 RSI(과매수/과매도), MFI(자금흐름) 추세와 급변 여부를 확인합니다.
관찰 요약
- 일봉 RSI: 과매도권에서 회복 중(약 37~43 수준 표기). 즉, 기술적 반등 여지 있음.
- 일봉 MFI: 일봉 자금유입이 소폭 증가했으나 강한 자금유입은 아님(약 41 표기).
- 60분(단기, 이전 캡쳐 기준): 단기 RSI는 비교적 높은 구간으로 단기 과열 가능성 관찰(변동성·거래량에 따라 조정 가능).
- 주봉·월봉 RSI/MFI: 여전히 약세(과매도 축적 상태에서 완만 회복).
절차적 해석
- 단기 모멘텀은 반등 방향으로 개선 중이나, 중·장기 모멘텀이 완전히 전환된 증거가 추가되기 전까지는 ‘추세 전환 확정’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모멘텀 전환의 결정적 확인은 일봉 RSI가 지속적으로 40 이상 유지되며 MFI가 동반 상승할 때입니다.
무엇을 확인할지: 반등·돌파 시 240분·일봉의 거래량이 평소 평균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하는지(≥1.5배 기준)을 확인합니다.
관찰 요약
- 최근 일봉·240분에서 큰 거래량 봉(스파이크)이 관찰되어 반등에 신뢰를 더해줍니다.
- 그러나 이후 봉들에서 거래량이 다소 감소하는 모습도 있어 ‘지속성’ 확인이 필요합니다.
절차적 규칙
- 중기 저항(예: 일봉 상단 MA/구름대) 돌파시: 돌파 봉의 일봉 거래량이 평균 대비 ≥1.5배인지 확인. 충족 시 돌파를 신뢰, 미충족 시 페이크 가능성으로 관망.
무엇을 확인할지: 거래하는 시간프레임의 ATR 값을 사용해 현실적인 손절폭을 계산합니다.
절차(정량 계산)
1. 진입 시간프레임의 ATR을 확인(예: 일봉 ATR ≈ 7.6~7.9 화면 표기, 60분·240분도 각각 표기값 참고).
2. 손절폭 = ATR × 계수(단기: 1.5, 중기: 1.5, 일봉: 1.5~2).
3. 손절가 = 진입가 − 손절폭(호가 단위 반올림).
예시
- 단기 스윙 진입(진입 126원) 시 ATR(60)이 작다면(화면 기준 소수 단위) 단기 손절 = 126 − (ATR(60)×1.5).
- 일봉 기반 중기 진입 시 손절폭은 일봉 ATR ×1.5~2 적용.
원칙: 변동성 확대 구간에선 손절폭을 넉넉히 잡아 ‘노이즈 청산’을 피하도록 합니다.
무엇을 확인할지: 직전 저점/고점, MA·볼린저·구름대 위치를 기준으로 실전 가격대를 설정합니다.
화면 기준 핵심 가격대(대략값)
- 현재가(스크린샷 기준): 126원
- 단기 지지(풀백 기대 구간): 111 ~ 116원 (최근 저점·밴드 하단)
- 즉각 단기 저항: 약 147원 전후(일봉 상단 MA/구름대 인접)
- 중기 상단 저항: 약 167~170원(상위 MA/구름대)
- 분기점 요약: 111원대 이탈 → 방어 실패(하방 재검토), 147원 돌파·안정 마감 → 중기 전환 신뢰 증가
메모: 수치는 화면에 표시된 MA/구름대·캔들 레이아웃 기반 근사값이므로 실제 주문 전 호가 단위로 반올림·재확인하세요.
아래 시나리오는 그대로 체크리스트처럼 실행하실 수 있습니다.
A. 보수적(권장 — 확증 매매)
- 조건(확인): 일봉 기준 147원(중기 저항) 이상에서 ‘안정적 종가 마감’ + 일봉 거래량이 평균 대비 ≥1.5배 연속 확인(최소 1~2일).
- 행동: 돌파 확정 후 분할매수(예: 3회 분할).
- 손절: 진입가 대비 8~12% 또는 일봉 ATR×1.5~2(또는 111~116 이탈 시 전량 정리).
- 목표: 1차 167~170원, 2차 상위 저항 돌파 시 재설정.
B. 단기 스윙(풀백 매수)
- 조건: 60분 차트에서 풀백(조정) 발생 → 111~116 구간에서 지지(양봉·거래량 유지) 확인.
- 행동: 소수(계좌의 1~3%) 분할 진입.
- 손절: 진입가 − ATR(60)×1.5 또는 111원대 이탈 시.
- 익절: 147원 근처에서 부분 익절, 잔여는 중기 흐름 확인 후 유지/청산.
C. 공격적(리스크 허용)
- 조건: 연속적 호재·대량 유입으로 일봉 거래량 급증이 지속될 때.
- 행동: 분할 진입하되 전체 포지션은 계좌의 3~5% 권장.
- 손절: ATR(日)×2 또는 핵심 지지 이탈.
D. 보유자(포지션 관리)
- 규칙: 이미 보유 중이면 이번 반등에서 일부(예: 30~50%) 부분 익절로 리스크 축소. 잔여는 147원 돌파·거래량 지속 여부로 재평가.
설정 권장 알림과 즉시 취할 행동
- 알림 1: 147원(일봉 중기 저항) 돌파 및 일봉 거래량 ≥ 평균×1.5 → 확증 매수(분할진입) 고려
- 알림 2: 111~116원(보수적 지지) 이탈 → 즉시 손절·비중 축소 권고
- 알림 3: 60분 RSI 급등(예: >75) → 단기 과열 경고 → 부분 익절 권장
- 알림 4: 돌파 후 일봉 거래량 급감 → 페이크 돌파 가능성, 관망 권고
핵심: 일봉·240분에서 거래량을 동반한 반등이 확인되어 단기·중기 모멘텀이 개선된 상태이나, 주·월봉의 구조적 약세와 일봉 상단 저항대가 남아 있어 ‘완전한 추세 전환’으로 보기엔 이릅니다.
권고(절차적): 당장 대규모 진입 대신 (1) 풀백에서의 지지 확인 → 소액 분할 진입 또는 (2) 147원대 돌파·일봉 거래량 지속 확인 후 분할 매수(확증 매매)를 권장합니다. 손절은 ATR 기반으로 사전에 설정하시고 감정 개입 없이 자동화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