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steemcoin 25.10.31

neoniki1234 - 2025-10-31 00:37:51

STEEM/KRW(60분·240분·일봉) 이미지를 바탕으로 요청하신 대로 “꼼꼼하고 단계적이며 절차적인 사고” 흐름으로 결과만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내부적인 사고 과정(사유의 원문)은 제공하지 않으며, 제가 어떤 항목을 검토했는지와 그 근거·결론·실전 규칙을 단계별로 제시하겠습니다.


요약(한 문장)

- 전반 판단: 장·중·단기 모두 하방(약세) 구조가 유지되고 있으며, 현재(이미지 기준 125원 전후)는 저가 탐색·횡보 구간입니다. 확인 신호 없이 적극 매수하지 말고, 거래량 동반한 연속 반등(60분) 또는 240분/일봉 차트의 구조적 전환을 확인한 뒤 분할 진입하세요.


1) 분석 절차(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가)



  1. 일봉(상위) — 전체 추세(롱/숏/관망) 판단: 일목구름·장기 MA·일봉 ATR·거래량·MFI·RSI 확인.

  2. 240분(중기) — 반등 신뢰성·저항 위치 확인: 구름 하단, MA 정렬, 거래량 지속성 점검.

  3. 60분(단기) — 진입 타이밍·손절폭 산정: 캔들 패턴(몸통·꼬리), 거래량, ATR(변동성), RSI·MFI 확인.

  4. 지지·저항 산출 →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보수·단기·숏) 수립 → 포지션·리스크 규칙 적용.


원칙: 항상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 순으로 신뢰도를 확인했습니다.




2) 차트별 핵심 관찰(이미지 기반 요약)



  • 일봉

  • 관찰: 일목구름 아래, 장기 이동평균 하향, 최근 연속 하락 후 완만한 횡보. 거래량은 급락 이후 회복이 약함.

  • 지표(이미지 근사): ATR(14) 약 6.4, MFI 약 28–29(자금 유입 약함), RSI 약 30(저점권).


  • 해석: 장기 구조는 약세. 일봉의 명확한 전환(구름/장기MA 돌파 + 거래량 회복) 전까지는 중·장기 롱 비권장.




  • 240분



  • 관찰: 구름 하단이 저항 역할, 최근 소규모 반등 후 다시 하락 흐름. 거래량은 반등 때 증가했으나 지속되지 않음.

  • 지표(이미지 근사): ATR(240) 상승 후 다소 완화, MFI 약 25–26, RSI 약 33.


  • 해석: 중기 관점에서도 반등 신뢰도가 낮음. 중기 전환은 구름 돌파 및 거래량 수반이 필요.




  • 60분



  • 관찰: 연속적인 작은 몸통과 하단 꼬리로 120–126 범위에서 탐색. 최근 약한 반등 봉 출현 뒤 다시 눌림. 거래량은 일부 봉에서 증가.

  • 지표(이미지 근사): ATR(60) 약 1.6, MFI 약 20, RSI 약 31 → 모멘텀 약함/저점권.

  • 해석: 단기적으로는 바닥 다지기 가능. 그러나 자금 유입(MFI)이 약해 지속적 상승은 불확실. 단타는 조건부(거래량 동반 연속 양봉)로만.




3) 핵심 지지·저항(이미지 기준 근사치)



  • 단기 지지: 123–124원 (최근 저점군)

  • 즉시 저항(단기): 126–128원 (최근 고점·단기 MA군)

  • 중기 저항: 133–137원 (240분 구름 하단·중기 MA)

  • 장기 저항: 약 155원 이상(일봉 구름/장기 MA)

  • 하방 리스크: 단기 지지 이탈 시 115–120원대(이전 구조적 저점) 가능


(참고: 실제 주문 전 실시간 호가·체결 가격으로 재확인하십시오.)




4) 캔들 관찰(교수식 요약 — 핵심 포인트)



  • 긴 아랫꼬리 캔들(지지 탐색): 하단에서 매수 탐색이 있으나 몸통 작으면 반전 신뢰도 약함. 다음 봉 확인 필수.

  • 소규모 연속 양봉(거래량 동반 시): 단기 반등 신호. 연속 2~3봉 거래량이 평균 이상일 때 신뢰도 상승.

  • 저거래량 양봉(체결 미약): 허위 반등 가능성(페이크아웃)이 높으므로 추가 확인 필요.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실전·단계적)


공통 원칙: 상위추세가 약세인 상황에서는 롱은 분할·보수, 숏은 경험자만.


A)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240분 또는 일봉에서 구름(종가 기준) 상향 돌파 + 거래량 회복(평균 이상) 확인.

- 진입 방식: 돌파 확인 후 3단계 분할(초기 30% → 확인 후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 하회 시(또는 일봉 ATR×1.5).

- 목표: 중기 저항(133–137원)에서 부분익절.


B) 단기(데이/스캘프, 조건부)

- 진입 조건: 60분에서 강한 바디의 양봉 + 거래량 급증 + RSI/MFI 동반 개선.

- 손절: 직전 60분 저점(예: 123원 미만) 또는 ATR(60)×1.0~1.5.

- 목표: 126–128원에서 부분익절.

- 포지션: 계좌의 0.5%~1% 리스크 권장.


C) 숏(고위험)

- 진입 조건: 단기 반등이 240분·일봉 저항에서 거래량 동반 실패(강한 음봉) 시.

- 손절: 반등이 구름 상향 돌파 시 즉시 청산.

- 목표: 단기 지지(123–124원), 이탈 시 다음 저점으로 분할 청산.




6) 리스크 관리·포지션 산정 예시



  • 원칙: 한 트레이드의 손실을 계좌의 1~3%로 제한.

  • 예(계좌 1,000,000원, 허용 손실 2% = 20,000원)

  • 단기 예: 진입 125원, 손절 122원(손절폭 3원 ≈ 2.4%) → 이론 허용 포지션 ≈ 20,000 ÷ 0.024 ≈ 833,333원 → 실전 권장(수수료·슬리피지 고려) 약 250k~500k원.

  • 손절은 반드시 주문과 동시에 지정(조건부)으로 걸어 두시고, 감정 개입으로 미이행하지 않기.




7) 주문 전 체크리스트(3초 점검)



  1. 일봉: 여전히 구름 아래(하락)? → 예 → 관망 우선.

  2. 240분: 거래량 동반한 구름 돌파가 있는가? → 아니면 대기.

  3. 60분: 진입 캔들(연속 양봉)에 거래량·RSI·MFI 개선이 동반되는가? → 네일 때만 소규모 진입.

  4. 외부 변수: 글로벌 시세·거래소 공지·대형 체결 뉴스 확인.

  5. 주문 설정: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완료.




8) 권장 즉시 행동(우선순위)



  1. 기본: 관망 우선 — 상위 전환 확인 전까지 적극 매수 자제.

  2. 보유자: 일부(30–50%) 익절 권장, 잔여는 엄격 손절 설정(예: 123원 하회 시 청산).

  3. 진입 희망자: 60분에서 거래량 동반 연속 양봉(최소 2봉) 및 RSI·MFI 개선 확인 시 소규모 진입.

  4. 숏은 경험자만 — 손절 즉시 실행 가능하도록 세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