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steemcoin 25.10.30

neoniki1234 - 2025-10-30 00:42:45

(한국시간) 기준으로, 올려주신 STEEM/KRW(60분·240분·일봉) 이미지를 근거로 판단했습니다.


한줄 요약(핵심 결론)



  • 전반 판단: 상·중·단기 모두 하방 우세 구조가 유지됩니다. 현재(약 131–134원 범위)는 단기 지지에서 횡보·저가 탐색 구간이며, 확인 신호 없이는 적극 매수 금지. 단기 스캘프(소규모·엄격 손절) 또는 관망이 권장됩니다.


아래는 제가 실제로 무엇을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지(절차), 각 시간축 관찰·해석, 핵심 지지·저항,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구체적·단계적), 리스크 관리·포지션 산정, 주문 전 체크리스트 순으로 정리한 결과입니다.


1) 분석 절차(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가)



  1. 상위(일봉) 확인 — 전체 추세(롱/숏/관망) 판단: 일목구름·장기 MA·일봉 ATR·거래량 확인.

  2. 중간(240분) 확인 — 반등의 지속성·저항 위치 확인: 구름·MA 정렬·거래량 스파이크 여부.

  3. 단기(60분) 확인 — 캔들(몸통·꼬리)·거래량·MFI·RSI·ATR로 진입·손절 규칙 산출.

  4. 지지·저항 레벨 산출 → 조건부 시나리오(보수·단기·숏) 수립.

  5. 포지션·리스크 규칙 산정 → 주문 전 체크리스트 적용.


(항상 우선순위: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




2) 시간축별 관찰 및 해석(이미지 근거, 간결)



  • 일봉(장기)

  • 관찰: 가격이 일목구름 아래, 장기 MA 하향. 대형 음봉 이후 완만한 하락·횡보. 거래량은 급락 이후 회복 미흡.

  • 지표 요약: ATR(일) 과거 급등 후 완만한 감소(변동성은 남아 있음), MFI 낮음(자금 유입 부족), RSI 저점권(반등 가능성은 있으나 신뢰도 낮음).


  • 해석: 장기 구조는 약세. 일봉 기준 추세 전환 신호(구름 돌파 + 거래량 회복) 전까지는 중·장기 매수 비권장.




  • 240분(중기)



  • 관찰: 구름 하단(저항) 주변에서 가격이 눌리고 있음. 특정 구간에서 거래량 스파이크(급격한 체결)가 있었으나 저항에서 매도에 밀린 봉이 관찰됨.

  • 지표 요약: ATR(240) 일시 확대 후 완화, MFI(240) 최근 회복 후 재하락, RSI(240) 중립~약간 약세.


  • 해석: 중기 반등 시도가 있으나 지속성 부족. 중기 전환을 신뢰하려면 구름 상향 돌파와 거래량 동반이 필요.




  • 60분(단기)



  • 관찰: 연속된 작은 몸통과 하단 꼬리가 반복되며 129–134원 수준에서 횡보·저가 탐색. 최근 봉들에서 일부 거래량 증가가 보이나 평균적으로 낮음.

  • 지표 요약: ATR(60) 낮음~중간(단기 손절은 촘촘하되 변동성 고려), RSI(60) 30대 근처(저점권), MFI(60) 낮음(실제 자금 유입 부족).

  • 해석: 단기적 바닥 다지기·탐색 구간. 거래량 동반한 연속 양봉이 확인되면 단기 스윙 진입 고려 가능하나, 상위 추세와 정렬이 역행하면 위험.




3) 핵심 지지·저항(이미지 기준 근사치)



  • 즉시 단기 지지: 129–131원(최근 저점·하단 꼬리 레인지)

  • 단기 저항: 133–135원(60분/240분 단기 MA 및 최근 고점)

  • 중기 저항: 140–147원(240분 구름 하단·주봉 MA 레인지)

  • 장기 저항: 157원 전후(일봉 구름/장기 MA 위치)

  • 하방 리스크: 지지 이탈 시 120–125원대(이전 구조적 저점)까지 열릴 가능성


(주문 전 실시간 호가로 반드시 재확인 필요)




4)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구체적·단계적)


공통 원칙: 상위 하락 상태에서는 롱은 분할·보수, 숏은 경험자만(손절 엄격).



  • 시나리오 A —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240분 또는 일봉에서 구름(종가 기준) 상향 돌파 + 거래량 회복(평균 이상).

  • 진입 방식: 돌파 확인 후 3단계 분할 진입(초기 30% → 확인 후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예: 120–123원) 하회 시 또는 일봉 ATR×1.5.


  • 목표: 1차 140–147원(중기 저항), 돌파 시 장기 저항 영역.




  • 시나리오 B — 단기 데이 트레이드(조건부·소규모)



  • 진입 조건: 60분에서 강한 바디의 양봉 + 거래량 급증 + RSI·MFI 동반 개선.

  • 손절: 직전 60분 저점(예: 129원 미만) 또는 60분 ATR×1.0~1.5.

  • 목표: 단기 저항 133–135원에서 부분익절.


  • 포지션: 계좌의 0.5%~1% 리스크 권장(상위추세 역행 고려).




  • 시나리오 C — 숏(고위험, 경험자)



  • 진입 조건: 단기 반등이 240분/일봉 저항에서 거래량 동반으로 명확히 실패할 때.

  • 손절: 반등으로 구름 상향 돌파 시 즉시 정리.

  • 목표: 129–131원 지지 → 이탈 시 다음 저점으로 분할 익절.




5) 리스크 관리·포지션 산정(실전 예시)



  • 원칙: 한 거래당 계좌의 1~3% 손실 허용 권장.

  • 예시(계좌 1,000,000원, 허용 손실 2% = 20,000원)

  • 가정: 단기 진입가 133원, 손절 130원(손절폭 3원 ≒ 2.26%)

  • 이론상 허용 포지션 가치 ≈ 20,000 ÷ 0.0226 ≈ 885,000원(이론)

  • 실전 권장: 수수료·슬리피지·심리 고려해 이론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 265k–531k원 권장.

  • 손절 원칙: 항상 주문과 함께 자동 지정(조건부)으로 넣고, 감정 개입으로 미이행하지 않기.




6) 주문 전 최소 체크리스트(3초 점검)



  1. 일봉: 구름·장기 MA가 여전히 하향 정렬인가? (네 → 관망)

  2. 240분: 구름 돌파·거래량 동반 신호가 있는가? (아니면 대기)

  3. 60분: 진입 봉에 거래량·RSI·MFI가 동반 개선되는가? (네일 때만 소규모 진입)

  4. 외부 변수: 글로벌 시세 차이·거래소 공지(입금 급증 등) 확인

  5. 주문 세팅: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여부 확인




즉시 권장 액션(우선순위)



  1. 관망(우선): 상위추세가 하방인 상태에서는 신규 롱 비중 확대 금지.

  2. 보유자: 부분 익절(예: 30–50%) 고려 — 잔여는 엄격 손절(예: 129원 하회 시 청산) 권장.

  3. 단기 진입자: 60분에서 거래량을 동반한 연속 양봉(확정 종가) 및 RSI·MFI 개선 확인 시 소규모 진입.

  4. 숏 전략은 경험자만, 손절을 즉시 실행 가능하게 세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