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간) 기준으로, 올려주신 STEEM/KRW(60분·240분·일봉) 이미지를 근거로 판단했습니다.
한줄 요약(핵심 결론)
- 전반 판단: 상·중·단기 모두 하방 우세 구조가 유지됩니다. 현재(약 131–134원 범위)는 단기 지지에서 횡보·저가 탐색 구간이며, 확인 신호 없이는 적극 매수 금지. 단기 스캘프(소규모·엄격 손절) 또는 관망이 권장됩니다.
아래는 제가 실제로 무엇을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지(절차), 각 시간축 관찰·해석, 핵심 지지·저항,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구체적·단계적), 리스크 관리·포지션 산정, 주문 전 체크리스트 순으로 정리한 결과입니다.
1) 분석 절차(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가)
- 상위(일봉) 확인 — 전체 추세(롱/숏/관망) 판단: 일목구름·장기 MA·일봉 ATR·거래량 확인.  
- 중간(240분) 확인 — 반등의 지속성·저항 위치 확인: 구름·MA 정렬·거래량 스파이크 여부.  
- 단기(60분) 확인 — 캔들(몸통·꼬리)·거래량·MFI·RSI·ATR로 진입·손절 규칙 산출.  
- 지지·저항 레벨 산출 → 조건부 시나리오(보수·단기·숏) 수립.  
- 포지션·리스크 규칙 산정 → 주문 전 체크리스트 적용.
(항상 우선순위: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
2) 시간축별 관찰 및 해석(이미지 근거, 간결)
3) 핵심 지지·저항(이미지 기준 근사치)
- 즉시 단기 지지: 129–131원(최근 저점·하단 꼬리 레인지)  
- 단기 저항: 133–135원(60분/240분 단기 MA 및 최근 고점)  
- 중기 저항: 140–147원(240분 구름 하단·주봉 MA 레인지)  
- 장기 저항: 157원 전후(일봉 구름/장기 MA 위치)  
- 하방 리스크: 지지 이탈 시 120–125원대(이전 구조적 저점)까지 열릴 가능성
(주문 전 실시간 호가로 반드시 재확인 필요)
4)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구체적·단계적)
공통 원칙: 상위 하락 상태에서는 롱은 분할·보수, 숏은 경험자만(손절 엄격).
- 시나리오 A —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240분 또는 일봉에서 구름(종가 기준) 상향 돌파 + 거래량 회복(평균 이상).  
- 진입 방식: 돌파 확인 후 3단계 분할 진입(초기 30% → 확인 후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예: 120–123원) 하회 시 또는 일봉 ATR×1.5.  
 - 목표: 1차 140–147원(중기 저항), 돌파 시 장기 저항 영역. 
 
 - 시나리오 B — 단기 데이 트레이드(조건부·소규모) 
 
- 진입 조건: 60분에서 강한 바디의 양봉 + 거래량 급증 + RSI·MFI 동반 개선.  
- 손절: 직전 60분 저점(예: 129원 미만) 또는 60분 ATR×1.0~1.5.  
- 목표: 단기 저항 133–135원에서 부분익절.  
 - 포지션: 계좌의 0.5%~1% 리스크 권장(상위추세 역행 고려). 
 
 - 시나리오 C — 숏(고위험, 경험자) 
 
- 진입 조건: 단기 반등이 240분/일봉 저항에서 거래량 동반으로 명확히 실패할 때.  
- 손절: 반등으로 구름 상향 돌파 시 즉시 정리.  
- 목표: 129–131원 지지 → 이탈 시 다음 저점으로 분할 익절.
5) 리스크 관리·포지션 산정(실전 예시)
- 원칙: 한 거래당 계좌의 1~3% 손실 허용 권장.  
- 예시(계좌 1,000,000원, 허용 손실 2% = 20,000원)
- 가정: 단기 진입가 133원, 손절 130원(손절폭 3원 ≒ 2.26%)  
- 이론상 허용 포지션 가치 ≈ 20,000 ÷ 0.0226 ≈ 885,000원(이론)  
- 실전 권장: 수수료·슬리피지·심리 고려해 이론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 265k–531k원 권장.  
- 손절 원칙: 항상 주문과 함께 자동 지정(조건부)으로 넣고, 감정 개입으로 미이행하지 않기.
6) 주문 전 최소 체크리스트(3초 점검)
- 일봉: 구름·장기 MA가 여전히 하향 정렬인가? (네 → 관망)  
- 240분: 구름 돌파·거래량 동반 신호가 있는가? (아니면 대기)  
- 60분: 진입 봉에 거래량·RSI·MFI가 동반 개선되는가? (네일 때만 소규모 진입)  
- 외부 변수: 글로벌 시세 차이·거래소 공지(입금 급증 등) 확인  
- 주문 세팅: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여부 확인
즉시 권장 액션(우선순위)
- 관망(우선): 상위추세가 하방인 상태에서는 신규 롱 비중 확대 금지.  
- 보유자: 부분 익절(예: 30–50%) 고려 — 잔여는 엄격 손절(예: 129원 하회 시 청산) 권장.  
- 단기 진입자: 60분에서 거래량을 동반한 연속 양봉(확정 종가) 및 RSI·MFI 개선 확인 시 소규모 진입.  
- 숏 전략은 경험자만, 손절을 즉시 실행 가능하게 세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