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steemcoin 25.10.29

neoniki1234 - 2025-10-29 00:44:45

STEEM/KRW(현재 132원, 이미지 기준)를 단계적·절차적으로 분석한 결과 — 장·중기 구조는 여전히 하방 우세이나 단기(60분)는 저가 탐색·횡보 구간으로 단기 반등 가능성이 있으니, 확인 신호(거래량·60분 연속 양봉·지표 개선) 없이 무리한 롱 진입은 자제하고 소규모·엄격 손절의 단타 또는 관망을 권장드립니다.


(아래 분석은 올려주신 60분·240분·일봉 이미지 수치·지표를 근거로 한 ‘이미지 기준 대략값’ 해석입니다.)


1단계 — 분석 절차(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가)



  1. 상위(일봉)로 구조 확인 — 목표: 전체 전략(롱/숏/관망) 결정

  2. 중기(240분)로 반등의 지속성·저항 위치 확인 — 목표: 단기 신호의 신뢰성 검증

  3. 단기(60분)로 캔들·거래량·모멘텀(ATR, RSI, MFI) 확인 — 목표: 진입/손절/목표 수치 산정

  4. 핵심 지지·저항 레벨 도출 → 조건부 시나리오(보수·단기·숏) 제시

  5. 포지션 사이징·리스크 규칙 적용 → 주문 전 체크리스트


(원칙: 한 봉만으로 결론 내리지 않고 상위시간축 정렬을 항상 확인합니다.)




2단계 — 시간축별 관찰 및 해석 (이미지 기준 대략값 표기)



  • 일봉(장기)

  • 관찰: 가격이 일목구름 아래, 장기 이동평균 하향 정렬. 큰 낙폭 이후 완만한 횡보.

  • 지표 대략: ATR(일) ≈ 6.0 수준, MFI(일) ≈ 26, RSI(일) ≈ 32 → 저점권이나 자금 유입 약함.


  • 해석: 장기 구조는 약세. 장기 매수는 구름 상향 돌파 및 거래량 회복 확인 후 검토.




  • 240분(중기)



  • 관찰: 구름 하단 근방에서 저항, 최근 일시적 봉(급등·거래량 스파이크)이 있었으나 저항에서 밀림.

  • 지표 대략: ATR(240) ≈ 2.0, MFI(240) ≈ 30, RSI(240) ≈ 41 → 중기 반등 시도는 있으나 지속성 부족.


  • 해석: 중기 전환을 위해선 구름 상향 돌파·지속적 거래량 동반 필요.




  • 60분(단기)



  • 관찰: 60분 봉에서 연속된 작은 몸통과 하단 꼬리(저가 탐색) 반복, 가격 132원 부근에서 횡보. 거래량은 특정 봉에서 증가했지만 전체적으론 보통 이하.

  • 지표 대략: ATR(60) ≈ 1.1–1.3, MFI(60) ≈ 13–35(낮음), RSI(60) ≈ 38–40(저점권 근접)

  • 해석: 단기 바닥 다지기·탐색 구간. 기술적 반등 가능성 있으나 MFI 저조로 자금 유입 확인이 관건.




3단계 — 핵심 지지·저항(이미지 기준, 근사치)



  • 즉시 단기 지지: 131–133원(최근 저점·하단 꼬리 레인지)

  • 단기 저항: 135–137원(60분/240분 단기 MA 및 최근 고점)

  • 중기 저항: 141–147원(240분 구름 하단·주봉 MA 인근)

  • 장기 저항: 약 157원 이상(일봉 구름·장기 MA)

  • 하방 리스크: 지지 이탈 시 120–125원대(이전 구조적 저점)까지 열릴 수 있음


(실거래 전에는 실시간 호가·체결값으로 반드시 재확인하세요.)




4단계 —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구체적·단계별)


공통 원칙: 상위추세가 약세이므로 롱은 확인 후 분할·보수, 숏은 숙련자·엄격 손절.


A)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요건: 240분·일봉에서 구름 상향 돌파(종가 확인) + 거래량 회복(평균 이상)

- 진입 방법: 돌파 확인 후 3분할 진입(초기 30% → 확인 후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예: 120~123원) 하회 시 또는 일봉 ATR×1.5

- 목표: 1차 141–147원(중기 저항), 돌파 시 장기 저항까지


B) 단기(데이·스캘프, 조건부·소규모)

- 진입 요건: 60분에서 강한 양봉 + 거래량 급증 + RSI/MFI 동반 개선

- 손절: 60분 ATR × 1.0~1.5 또는 직전 60분 저점(예: 131원 미만) 이탈 시

- 목표: 단기 저항 135–137원에서 부분익절

- 포지션: 계좌의 0.5%~1% 리스크 권장(상위추세 역행 위험 고려)


C) 숏(고위험)

- 진입 요건: 반등이 240분/일봉 저항에서 명확히 실패(거래량 동반 음봉)할 때

- 손절: 반등으로 구름 상향 돌파 시 즉시 청산

- 목표: 131–133원 지지 → 이탈 시 다음 저점(120–125원)으로 분할 익절




5단계 — 리스크 관리·포지션 사이징 예시



  • 원칙: 한 거래의 허용 손실을 계좌의 1~3%로 제한.

  • 예시 계산(계좌 1,000,000원 가정, 허용 손실 2% = 20,000원)

  • 단기 예: 진입 134원, 손절 131원(손절폭 3원 ≒ 2.24%) → 이론 허용 포지션 ≈ 20,000 ÷ 0.0224 ≈ 892,857원

  • 실전 권장: 수수료·슬리피지 고려해 이론치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 268k–536k원 권장

  • 손절 운영: 반드시 주문에 손절가 선입력, 감정으로 손절을 늦추지 않기




6단계 — 주문 전 체크리스트(실행 직전 반드시 확인)



  1. 일봉·주봉: 상위추세(구름·장기 MA) 정렬 상태 확인(하락이면 관망)

  2. 240분: 거래량 동반한 지속적 상승 혹은 구름 돌파 신호 여부

  3. 60분: 진입 캔들에 거래량·RSI·MFI의 동시 개선 여부

  4. 외부 요인: 글로벌 시세(해외 거래소), 거래소 공지(입금 급증 등), 뉴스 확인

  5. 주문세팅: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완료




즉시 권장 액션(우선순위)



  1. 현재(이미지 기준 132원): 상위 하락 추세 유지 → 관망(대기) 권장

  2. 보유자: 일부(30–50%) 익절 고려, 잔여는 엄격 손절(예: 131원 하회 시 청산)

  3. 신규 진입: 60분에서 거래량 동반 강한 양봉·지표 개선 확인 후 소규모 진입 또는 240분·일봉에서 전환 신호 확인 후 분할 매수

  4. 단타 희망자: 포지션은 매우 작게(계좌의 0.5~1% 위험) 유지, 손절은 ATR 기준으로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