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steemcoin 25.10.28

neoniki1234 - 2025-10-28 00:40:00

STEEM/KRW 차트(60분·240분·일봉)를 바탕으로 “꼼꼼하고 단계적이며 절차적인 사고” 흐름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제가 하는 일은 차트의 전반 구조를 상위→중기→단기 순으로 확인해 신호의 신뢰도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와 구체적 리스크 규칙을 제안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제 분석 방식을 먼저 간단히 정리한 뒤, 시간축별 관찰 → 지표 해석 → 핵심 지지·저항 → 조건부 시나리오 → 리스크·포지션 예시 → 주문 전 체크리스트 순으로 단계적으로 설명드립니다.




분석 방식(절차적 사고 흐름 — 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보는가)



  1. 상위(일봉)로 전체 추세와 구조(구름·장기 MA·ATR)를 확인 — 전략의 기본(롱/숏/관망) 결정

  2. 중기(240분)로 반등·저항 구간과 거래량 지속력 확인 — 단기 신호의 신뢰성 판단

  3. 단기(60분)로 캔들(몸통·꼬리)·거래량·모멘텀(RSI/MFI)·ATR로 진입·손절 규칙 산출

  4. 지지·저항 레벨 도출 → 조건부 시나리오(보수·단기·숏) 작성

  5. 포지션 사이징(계산 예시 포함) → 주문 전 체크리스트로 마무리


항상 우선순위는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월·주·일)”입니다. 한 봉만 보고 결론 내리지 않습니다.




1) 차트(이미지) 핵심 요약(한 문장)



  • 현재(이미지 기준) STEEM은 일·주/240분 기준 하방 구조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60분 차트상 단기 횡보·분할 바운스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RSI·MFI는 저점권 또는 약한 회복, ATR은 단기 변동성 소폭 축소(그러나 일간 변동성은 남아 있음) 상태로, 즉시 대규모 롱 진입보다는 확인된 신호를 기다리는 관망 또는 소규모·엄격 손절의 단기 접근이 권장됩니다.




2) 시간축별 관찰(이미지 수치 기반, 절차적 해석)



  • 일봉(장기)

  • 관찰: 장기(일봉)에서 가격은 일목구름 아래, 장기 MA들이 하향 정렬되어 있음. 최근 큰 하락 이후 완만한 횡보.

  • 지표(대략): ATR(일) 약 6.28, MFI 약 24.35(자금 유출권), RSI 약 32.85(저점권)


  • 해석: 구조적으론 하락 추세. RSI가 저점권이라 단기 반등은 가능하지만 자금 유입(MFI)이 약해 지속적 반등 신뢰도 낮음.




  • 240분(중기)



  • 관찰: 구름 하단 위/아래에서 가격이 움직이며 중기 저항(구름·MA) 부근에서 매도 저항을 받는 모습. 최근 봉들에서 거래량이 일시 증가했음.

  • 지표(대략): ATR(240) 약 2.18, MFI 약 63.02(중기 자금 유입 신호), RSI 약 48.19(중립)


  • 해석: 중기적으론 약간의 매수·반등 시도 존재. 거래량 증가가 반복되어야 중기 전환 신뢰가 올라감.




  • 60분(단기)



  • 관찰: 60분 차트는 최근 횡보 구간에서 위아래 꼬리와 작은 바디가 반복되는 구간. 일부 봉에서 거래량이 증가했음(관찰된 막대).

  • 지표(대략): ATR(60) 약 1.32, MFI 약 23.91(자금 유출/약함), RSI 약 33.10(저점권)

  • 해석: 단기적으로는 바닥 다지기·탐색 구간. 단기 반등 시 거래량 동반 여부가 매우 중요. MFI가 낮아 단기 매수 신뢰도는 제한적.




3) 캔들·지표별 의미(절차적 해석)



  • 캔들(전체) : 연속 음봉 후 작은 바디·꼬리 반복 → 시장 참여자들이 저가에서 매수·매도 탐색 중. “확실한” 반전 패턴 부재.

  • 거래량 : 일시적 거래량 증가(특히 중기 차트) — 반등 신호의 전조일 수 있지만, 지속성이 중요.

  • RSI : 일봉·60분 모두 저점권(30대 근처) → 기술적 반등 가능성 존재.

  • MFI : 일봉·60분에서 낮음 → 실제 자금 유입은 약함. 가격이 올라도 자금 유입이 동반되지 않으면 허위 반등일 가능성.

  • ATR : 일봉 기준 변동성은 최근 줄어드는 추세이나 단기 변동성(60·240)은 상황에 따라 급등 가능 → 손절은 ATR 기반으로 현실적으로 설정.


결론: 단기 반등 가능성은 있으나 상위 추세의 저항과 자금 유입 부재가 있어 ‘확인 후 진입’이 안전.




4) 핵심 지지·저항(이미지 근사치)



  • 즉시(단기) 지지: 약 133–134원(최근 저점 근처)

  • 단기 저항: 약 136–138원 (60·240분 MA 및 최근 봉 상단)

  • 중기 저항: 약 141–147원(240분·주봉 MA/구름 인접)

  • 장기 저항: 157원 이상(주·월 기준 상단 MA/구름)

  • 하방 리스크: 지지(133원) 이탈 시 120–125원대(이전 구조적 저점)까지 열릴 가능성 존재


(실거래 전 호가·체결시점 기준으로 수치 재확인 필요)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단계적·실전 규칙)


공통 규칙: 상위 추세(일·주)가 아직 하락에 가까우므로 롱은 분할·보수, 단타는 소규모·엄격 손절.



  • A.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240분 이상에서 구름/장기 MA를 상향 돌파하거나 일봉에서 거래량 동반한 확실한 양봉(종가 기준) 확인 시.

  • 진입 방식: 돌파 확인 후 3단계 분할 진입(초기 30% → 확인 후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예: 120–125원) 또는 일봉 ATR×1.5 규칙.


  • 목표: 중기 저항(141–147원) → 장기 저항(157원 이상).




  • B. 단기 데이 트레이드(조건부)



  • 진입 조건: 60분에서 강한 양봉 + 거래량 증가 + RSI/MFI 동반 개선.

  • 손절: 60분 ATR(약 1.32) × 1.0~1.5 또는 직전 60분 저점(예: 133–134원) 이탈 시.

  • 목표: 단기 저항(136–138원)에서 부분익절.


  • 포지션: 계좌의 0.5%~1% 위험 권장(상위추세 역행 위험 고려).




  • C. 숏(고위험, 경험자)



  • 진입 조건: 단기 반등이 중기·장기 저항에서 명백히 실패(거래량 증가 + 음봉)할 때.

  • 손절: 반등이 강해 구름 상향 돌파 시 즉시 청산.

  • 목표: 단기 지지(133–134원) → 이탈 시 더 하방(120원대)으로 분할익절.




6) 리스크 관리·포지션 사이징(구체적 예시)


원칙: 한 거래당 계좌의 1~3% 손실 허용 권장(급변 구간에서는 더 보수).



  • 예시 계산(계좌 1,000,000원, 허용 손실 2% = 20,000원)

  • 가정: 단기 진입가 135원, 손절 132원(손절폭 3원 ≒ 2.22%)

  • 이론상 허용 포지션 가치 = 20,000 ÷ 0.0222 ≈ 900,900원(이론)

  • 실전 권장: 수수료·슬리피지·심리 고려해 이론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약 270k–540k원 권장.

  • ATR 기반 손절: 60분 ATR(약 1.32원)을 손절 계산의 기초로 쓰되, 일간 ATR을 참고해 포지션 크기 보수 적용.


항상 손절은 주문 시점에 지정 주문으로 선입력하십시오(감정 개입으로 손절 미이행 금지).




7) 주문 전 체크리스트(실행 직전 반드시 확인)



  • 일봉·주봉: 상위추세(구름·장기 MA) 정렬 상태(하락이면 관망 우선)

  • 240분: 거래량 동반한 반등/돌파인지 여부 확인

  • 60분: 진입 캔들에 거래량·MFI·RSI가 일관되게 신뢰 신호를 주는지 확인

  • 외부 변수: 글로벌 시세(주요 거래소), 뉴스·대형체결·거래소 공지 여부 확인

  • 주문 세팅: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여부




8) 권장 즉시 액션(우선순위)



  1. 현재(이미지 기준 134원 부근): 상위 하락 구조 유지 → 관망 우선.

  2. 단기 기회: 60분에서 거래량 동반 강한 양봉 · RSI·MFI 개선이 확인되면 소규모 진입(손절 엄격).

  3. 보유자: 급격한 비중 확대 자제, 부분 익절 고려 및 손절 재점검.

  4. 중·장기 진입: 주·월봉에서 동시 신호(구름 돌파 + 거래량) 확인 후 분할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