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KRW 차트(60분·240분·일봉)를 바탕으로 “꼼꼼하고 단계적이며 절차적인 사고” 흐름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제가 하는 일은 차트의 전반 구조를 상위→중기→단기 순으로 확인해 신호의 신뢰도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와 구체적 리스크 규칙을 제안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제 분석 방식을 먼저 간단히 정리한 뒤, 시간축별 관찰 → 지표 해석 → 핵심 지지·저항 → 조건부 시나리오 → 리스크·포지션 예시 → 주문 전 체크리스트 순으로 단계적으로 설명드립니다.
분석 방식(절차적 사고 흐름 — 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보는가)
- 상위(일봉)로 전체 추세와 구조(구름·장기 MA·ATR)를 확인 — 전략의 기본(롱/숏/관망) 결정
- 중기(240분)로 반등·저항 구간과 거래량 지속력 확인 — 단기 신호의 신뢰성 판단
- 단기(60분)로 캔들(몸통·꼬리)·거래량·모멘텀(RSI/MFI)·ATR로 진입·손절 규칙 산출
- 지지·저항 레벨 도출 → 조건부 시나리오(보수·단기·숏) 작성
- 포지션 사이징(계산 예시 포함) → 주문 전 체크리스트로 마무리
항상 우선순위는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월·주·일)”입니다. 한 봉만 보고 결론 내리지 않습니다.
1) 차트(이미지) 핵심 요약(한 문장)
- 현재(이미지 기준) STEEM은 일·주/240분 기준 하방 구조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60분 차트상 단기 횡보·분할 바운스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RSI·MFI는 저점권 또는 약한 회복, ATR은 단기 변동성 소폭 축소(그러나 일간 변동성은 남아 있음) 상태로, 즉시 대규모 롱 진입보다는 확인된 신호를 기다리는 관망 또는 소규모·엄격 손절의 단기 접근이 권장됩니다.
2) 시간축별 관찰(이미지 수치 기반, 절차적 해석)
3) 캔들·지표별 의미(절차적 해석)
- 캔들(전체) : 연속 음봉 후 작은 바디·꼬리 반복 → 시장 참여자들이 저가에서 매수·매도 탐색 중. “확실한” 반전 패턴 부재.
- 거래량 : 일시적 거래량 증가(특히 중기 차트) — 반등 신호의 전조일 수 있지만, 지속성이 중요.
- RSI : 일봉·60분 모두 저점권(30대 근처) → 기술적 반등 가능성 존재.
- MFI : 일봉·60분에서 낮음 → 실제 자금 유입은 약함. 가격이 올라도 자금 유입이 동반되지 않으면 허위 반등일 가능성.
- ATR : 일봉 기준 변동성은 최근 줄어드는 추세이나 단기 변동성(60·240)은 상황에 따라 급등 가능 → 손절은 ATR 기반으로 현실적으로 설정.
결론: 단기 반등 가능성은 있으나 상위 추세의 저항과 자금 유입 부재가 있어 ‘확인 후 진입’이 안전.
4) 핵심 지지·저항(이미지 근사치)
- 즉시(단기) 지지: 약 133–134원(최근 저점 근처)
- 단기 저항: 약 136–138원 (60·240분 MA 및 최근 봉 상단)
- 중기 저항: 약 141–147원(240분·주봉 MA/구름 인접)
- 장기 저항: 157원 이상(주·월 기준 상단 MA/구름)
- 하방 리스크: 지지(133원) 이탈 시 120–125원대(이전 구조적 저점)까지 열릴 가능성 존재
(실거래 전 호가·체결시점 기준으로 수치 재확인 필요)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단계적·실전 규칙)
공통 규칙: 상위 추세(일·주)가 아직 하락에 가까우므로 롱은 분할·보수, 단타는 소규모·엄격 손절.
6) 리스크 관리·포지션 사이징(구체적 예시)
원칙: 한 거래당 계좌의 1~3% 손실 허용 권장(급변 구간에서는 더 보수).
- 예시 계산(계좌 1,000,000원, 허용 손실 2% = 20,000원)
- 가정: 단기 진입가 135원, 손절 132원(손절폭 3원 ≒ 2.22%)
- 이론상 허용 포지션 가치 = 20,000 ÷ 0.0222 ≈ 900,900원(이론)
- 실전 권장: 수수료·슬리피지·심리 고려해 이론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약 270k–540k원 권장.
- ATR 기반 손절: 60분 ATR(약 1.32원)을 손절 계산의 기초로 쓰되, 일간 ATR을 참고해 포지션 크기 보수 적용.
항상 손절은 주문 시점에 지정 주문으로 선입력하십시오(감정 개입으로 손절 미이행 금지).
7) 주문 전 체크리스트(실행 직전 반드시 확인)
- 일봉·주봉: 상위추세(구름·장기 MA) 정렬 상태(하락이면 관망 우선)
- 240분: 거래량 동반한 반등/돌파인지 여부 확인
- 60분: 진입 캔들에 거래량·MFI·RSI가 일관되게 신뢰 신호를 주는지 확인
- 외부 변수: 글로벌 시세(주요 거래소), 뉴스·대형체결·거래소 공지 여부 확인
- 주문 세팅: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여부
8) 권장 즉시 액션(우선순위)
- 현재(이미지 기준 134원 부근): 상위 하락 구조 유지 → 관망 우선.
- 단기 기회: 60분에서 거래량 동반 강한 양봉 · RSI·MFI 개선이 확인되면 소규모 진입(손절 엄격).
- 보유자: 급격한 비중 확대 자제, 부분 익절 고려 및 손절 재점검.
- 중·장기 진입: 주·월봉에서 동시 신호(구름 돌파 + 거래량) 확인 후 분할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