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steemcoin 25.10.27

neoniki1234 - 2025-10-27 00:39:39

STEEM/KRW 월·주·일 차트 이미지를 바탕으로 “꼼꼼하고 단계적이며 절차적인 사고” 흐름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내부 추론 과정(체인오브소트 등)은 공개할 수 없으므로, 제가 무엇을 어떤 순서로 확인했고 그 결과로 어떤 결론과 실전 규칙을 도출했는지 “절차적”으로 명확하게 정리드리겠습니다.


아래 구성은 (1) 분석 절차(체크리스트) → (2) 시간축별 관찰(월·주·일) → (3) 캔들·지표 해석 → (4) 핵심 지지·저항 수준 →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진입·손절·목표) → (6) 리스크 관리·포지션 계산 예시 → (7) 주문 전 체크리스트 및 권장 액션 순입니다.




1) 분석 절차(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보는가)



  1. 상위(월) — 구조(추세·구름·장기MA) 확인 → 전체 매매 태도(롱/숏/관망) 결정

  2. 중간(주) — 중기 저항·지지, 추세 전환 신호(구름·MA 정렬) 확인 → 단기 신호 신뢰성 판단

  3. 단기(일) — 캔들(바디·꼬리)·거래량·MFI·RSI·ATR로 진입·손절 폭 산정

  4. 핵심 레벨(지지·저항) 산출 → 조건부 시나리오 수립(보수/단기/숏)

  5. 포지션 사이징(계좌 기준) → 주문 전 체크리스트로 실행 준비


항상 원칙: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 순으로 신뢰도를 검증합니다.




2) 시간축별 관찰(이미지 기준: 시점 2025-10-27 오전 근접)


요약 결론: 월·주·일 모두 구조적으로 하방 우위(하락 추세 지속). 단기(일봉)에서는 약한 횡보·지지 시도 관찰되나 상위 전환 신호는 미확인입니다. 즉시 적극적 매수보다는 관망·조건부 접근 권장.



  • 월봉(장기)

  • 관찰: 가격이 장기 구름(일목) 아래, 월봉 지표(ATR 약 117 수준) 감소 추세지만 여전히 변동성 잔존. 월별 거래량은 과거 급등 이후 축소되어 있음. MFI 약 59, RSI 약 43.22(중립~약간 약세).


  • 해석: 장기적으로는 이미 큰 하락이 발생했고 현재는 저항권역 아래에서 횡보. 장기 매수는 구름 돌파 및 월봉상 거래량 회복이 확인될 때까지 보수적 접근.




  • 주봉(중기)



  • 관찰: 주봉에서 연속 음봉 및 구름 아래 체류. 주봉 ATR 약 27.4, MFI 약 43.19, RSI 약 38.01 — 모두 중기 하방 압력 시사. 최근 주별 거래량도 크게 회복되지 않음.


  • 해석: 중기 관점에서도 하락 추세가 유지. 단기 반등이 있더라도 주봉 저항(이동평균·구름 하단)에서 매도 압력 발생 가능.




  • 일봉(단기)



  • 관찰: 일봉 차트상 최근 연속적 하락 후 소폭 횡보·약한 반등 봉이 보임. 일봉 ATR 약 6.40, MFI 약 21.50(자금유출 우위), RSI 약 33.23(저점권 근처). 거래량은 급락 이후 전반 감소.

  • 해석: 일봉 RSI가 저점권으로 단기 반등 가능성을 시사하나, MFI 낮아 자금 유입은 약함. 단기 매수는 매우 조건부(거래량 동반·강한 양봉 확인)로만 고려.




3) 캔들·지표 해석(무엇을 의미하는가)



  • 캔들(일봉 기준)

  • 연속 음봉과 작은 몸통/아랫꼬리들: 하방 탐색·저가 매수 시도 반복 → 안정적 바닥 신뢰도 낮음.


  • 최근 몇 봉의 도지형/작은 양봉: 매수 시도 있지만 볼륨(거래량) 동반 약해 강한 반전으로 보기 어려움.




  • 거래량




  • 월·주·일 모두 급락 이후 거래량 감소: 대규모 자금 이탈이 발생했고, 현저한 매수세 회복 전까지는 반등 지속성 낮음.




  • ATR(변동성)




  • 월·주·일 모두 급락 이후 ATR이 줄어드는 중(일봉 ATR 약 6.4) → 변동성은 줄었으나 완전 안정화 아님. 손절폭은 ATR을 참고해 설정.




  • RSI·MFI(모멘텀·자금흐름)



  • RSI(일봉 33 수준)와 MFI(일봉 21 수준): RSI는 약간 과매도 근접, MFI는 자금 유출 신호로 반등의 신뢰성을 제한. 즉, 가격은 저점 영역이지만 자금 유입 없이는 반등 지속 어려움.




4) 핵심 지지·저항 레벨(이미지 기반 근사치)



  • 즉시 단기 지지(일봉): 133–135원 구간(최근 저점대)

  • 단기 저항(일봉 단기 MA/최근 고점): 138–142원

  • 중기 저항(주봉 구름 하단/MA): 157–176원 범위(주봉 차트 상단 영역)

  • 장기 저항(월봉 구름/장기 MA): 300원 이상(월봉 표기상 큰 레인지)

  • 하방 구조적 목표: 지지 이탈 시 이전 큰 저점(차트상 120원대 초중반) 가능성


(정확 주문 전엔 실시간 호가·체결가 확인 권장)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단계적·구체적)


공통 규칙: 상위 추세가 하락 중이므로 롱은 분할·보수, 숏은 경험자만(손절 엄격).



  • 시나리오 A —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주봉 또는 월봉에서 구름 상향 돌파(종가확인) + 거래량 동반 상승.

  • 진입 방식: 돌파 확인 후 3단계 분할 진입(초기 30% → 추가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기준 직전 구조적 저점(예: 120–123원) 하회 시 또는 월봉 ATR×1.5 방식.


  • 목표: 1차 157–176원(중기 저항), 2차 월봉 저항(더 상단).




  • 시나리오 B — 단기(데이 트레이드)



  • 진입 조건: 일봉(또는 60/30분)에서 강한 바디의 양봉 + 거래량 증가 + RSI/MFI 동반 개선.

  • 손절: ATR(일봉, 약 6.4) 기반으로 손절폭 설정(예: ATR×1 → 약 6–7원 수준) 또는 직전 저점(133원) 이탈 시.

  • 목표: 단기 저항 138–142원에서 부분 익절.


  • 포지션: 계좌의 0.5%~2% 위험 권장(상위 추세 역행 위험 고려).




  • 시나리오 C — 숏(고위험)



  • 진입 조건: 단기 반등이 중기·장기 저항에서 명확히 실패(음봉·거래량 급증 매도)할 때.

  • 손절: 반등이 강해 구름 상향 돌파 시 즉시 손절.

  • 목표: 단기 지지(133–135원) → 이탈 시 더 하방(120원대)으로 분할 익절.




6) 리스크 관리·포지션 사이징(예시 계산)


원칙: 한 거래에서 계좌의 1~3% 손실 허용 권장.



  • 예시(계좌 1,000,000원, 허용 손실 2% = 20,000원)

  • 단기 진입 가정: 진입 137원, 손절 131원(손절폭 6원 ≒ 4.38%)

  • 허용 포지션 가치(이론) = 20,000 ÷ 0.0438 ≈ 456,000원 → 실전 적용 시 수수료·슬리피지·심리 고려해 40–60% 보수 적용(≈182k–274k원).


  • 손절 설정은 반드시 주문과 함께 사전 입력(감정 개입으로 손절 미이행 금지).




  • ATR 활용: 일봉 ATR(약 6.4)을 손절 산출의 기초로 사용(예: 손절 = 진입가 − ATR×1~1.5). 변동성 급증 시 ATR 증가로 손절폭 재설정 필요.






7) 주문 전 체크리스트(최종 확인 항목)



  • 상위추세(주·월) 정렬: 하락이면 관망 우선

  • 중기(주봉)에서 거래량 동반한 반전 신호(구름·MA 돌파) 유무

  • 단기(일봉) 캔들(바디·꼬리)와 거래량의 일치 여부

  • RSI·MFI의 동반 개선(자금 유입·모멘텀 회복) 확인

  • 외부 요인: 주요 뉴스·거래소 공지·대형 체결 여부 확인

  • 주문 세팅: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8) 즉시 권장 액션(우선순위)



  1. 현재(이미지 기준 137원) 상황: 상위 하락 추세 유지 → 관망(대기) 권장.

  2. 단기 기회: 일봉에서 거래량 동반 강한 양봉·MFI·RSI 개선이 나올 때 소규모 진입 가능 — 손절 엄격 적용.

  3. 중·장기 진입: 주봉·월봉의 명확한 전환(구름 돌파 + 거래량 동반) 확인 후 단계적 분할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