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KRW 월·주·일 차트 이미지를 바탕으로 “꼼꼼하고 단계적이며 절차적인 사고” 흐름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내부 추론 과정(체인오브소트 등)은 공개할 수 없으므로, 제가 무엇을 어떤 순서로 확인했고 그 결과로 어떤 결론과 실전 규칙을 도출했는지 “절차적”으로 명확하게 정리드리겠습니다.
아래 구성은 (1) 분석 절차(체크리스트) → (2) 시간축별 관찰(월·주·일) → (3) 캔들·지표 해석 → (4) 핵심 지지·저항 수준 →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진입·손절·목표) → (6) 리스크 관리·포지션 계산 예시 → (7) 주문 전 체크리스트 및 권장 액션 순입니다.
항상 원칙: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 순으로 신뢰도를 검증합니다.
요약 결론: 월·주·일 모두 구조적으로 하방 우위(하락 추세 지속). 단기(일봉)에서는 약한 횡보·지지 시도 관찰되나 상위 전환 신호는 미확인입니다. 즉시 적극적 매수보다는 관망·조건부 접근 권장.
해석: 장기적으로는 이미 큰 하락이 발생했고 현재는 저항권역 아래에서 횡보. 장기 매수는 구름 돌파 및 월봉상 거래량 회복이 확인될 때까지 보수적 접근.
주봉(중기)
해석: 중기 관점에서도 하락 추세가 유지. 단기 반등이 있더라도 주봉 저항(이동평균·구름 하단)에서 매도 압력 발생 가능.
일봉(단기)
최근 몇 봉의 도지형/작은 양봉: 매수 시도 있지만 볼륨(거래량) 동반 약해 강한 반전으로 보기 어려움.
거래량
월·주·일 모두 급락 이후 거래량 감소: 대규모 자금 이탈이 발생했고, 현저한 매수세 회복 전까지는 반등 지속성 낮음.
ATR(변동성)
월·주·일 모두 급락 이후 ATR이 줄어드는 중(일봉 ATR 약 6.4) → 변동성은 줄었으나 완전 안정화 아님. 손절폭은 ATR을 참고해 설정.
RSI·MFI(모멘텀·자금흐름)
(정확 주문 전엔 실시간 호가·체결가 확인 권장)
공통 규칙: 상위 추세가 하락 중이므로 롱은 분할·보수, 숏은 경험자만(손절 엄격).
목표: 1차 157–176원(중기 저항), 2차 월봉 저항(더 상단).
시나리오 B — 단기(데이 트레이드)
포지션: 계좌의 0.5%~2% 위험 권장(상위 추세 역행 위험 고려).
시나리오 C — 숏(고위험)
원칙: 한 거래에서 계좌의 1~3% 손실 허용 권장.
손절 설정은 반드시 주문과 함께 사전 입력(감정 개입으로 손절 미이행 금지).
ATR 활용: 일봉 ATR(약 6.4)을 손절 산출의 기초로 사용(예: 손절 = 진입가 − ATR×1~1.5). 변동성 급증 시 ATR 증가로 손절폭 재설정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