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steemcoin 25.10.24

neoniki1234 - 2025-10-24 00:39:12

STEEM/KRW(현재 표시 135원 기준) 차트를 3단계(일봉→240분→60분)로 순차적으로 점검하며, 무엇을 왜 보는지 절차적 사고 흐름에 따라 꼼꼼히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결론 → 시간축별 관찰 → 지지·저항 →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 → 리스크 관리 순으로 정리합니다.




핵심 결론(요약)



  • 전체(일봉) 구조: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장기적 반등 전환 신호는 아직 미확인 상태입니다.

  • 중기(240분): 구름(일목) 아래·MA 저항에 눌려 있는 모습으로 반등 신뢰도 낮음.

  • 단기(60분): 135원 부근에서 단기 지지 시도 중이나 연속 음봉과 하방 탐색 꼬리가 있어 불확실성 존재.

  • 권장 태도: 일봉·240분의 전환 신호(구름/장기 MA 돌파 + 거래량 동반) 전까지 '관망' 우선. 단기 매매는 소규모·엄격 손절로만 접근.




절차적 분석 흐름(무엇을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가)



  1. 일봉(장기) — 추세(구름·장기 MA), ATR(일간 변동성), 거래량 구조 확인.

  2. 240분(중기) — 구름 위치·MA 정렬, 반등 지속성(거래량), 저항 레인지 확인.

  3. 60분(단기) — 최근 캔들 시퀀스(음봉/양봉), 꼬리(하방 탐색), MFI/RSI 상태, ATR(단기)로 손절폭 산정.

  4. 핵심 지지·저항 산출 → 조건부(시나리오별) 진입/손절/목표 제시 → 포지션·리스크 계산.




1) 일봉(장기 구조) — 관찰·해석



  • 관찰 포인트: 가격이 일목구름 아래, 장기 MA들이 하향 정렬(하락 추세 유지).

  • 의미: 전체적인 방향은 하방. 장기 매수는 구름 위 장기 MA 돌파 및 거래량 수반 시에만 검토.

  • 시사점: 현재는 ‘추세 확인 전 관망’이 안전함.




2) 240분(중기) — 관찰·해석



  • 관찰 포인트: 240분에서도 구름 하단과 MA 레인지가 저항 역할. 최근 반등은 해당 레인지에서 여러 번 막힘.

  • 거래량: 급락 구간에서 일시 증가 후 지속력 부족.

  • 의미: 중기 전환 신호(구름 돌파 또는 MA 골든크로스 + 거래량)가 나오기 전까지 반등 신뢰도 낮음.




3) 60분(단기) — 관찰·해석



  • 관찰 포인트: 연속 음봉 흐름, 일부 캔들에서 하단 꼬리(매수 탐색) 관찰. MFI/RSI는 저점권이나 상위추세의 영향으로 신뢰도 제약.

  • ATR(60분) 참고: 단기 변동성은 급락 이후 다소 낮아지긴 했으나 짧은 반등 시 급변 가능성 존재. (차트상 60분 ATR 약 1.0 내외 표기)

  • 의미: 단기 매수는 가능하나 매우 짧은 목표와 엄격한 손절 필요. 반등 시 단기 저항(138~140원)에서 매도 우선.




4) 핵심 지지·저항(실전용)



  • 즉시 단기 지지: 133–135원대(현재 135원 포인트, 60분 저점·꼬리 영역).

  • 다음 주요 지지(구조적): 약 123원 부근(이전 큰 저점 영역, 일봉 관점).

  • 단기 저항: 138–140원(최근 레인지에서 반복되는 저항).

  • 중기 저항: 142–146원(240분 구름/MA 레인지).

  • 장기 저항: 155원 이상(일봉 구름·장기 MA 위치).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단계적·구체적)


공통 원칙: 상위 추세(일봉)가 하락인 상태에서는 롱을 크게 잡지 말고, 숏은 경험자만. 손절은 항상 주문으로 사전 설정.


시나리오 A —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일봉에서 구름·장기 MA를 확실히 돌파(종가 기준) + 240분에서 거래량 동반 상승 확인.

- 진입 방법: 돌파 확인 후 3분할(1/3 → 추가확인 → 나머지)로 분할 진입.

- 손절: 일봉 기준 직전 구조적 저점(예: 123원 부근) 하회 또는 진입가 대비 ATR(일봉)×1.5.

- 목표: 단계적 익절 — 첫 목표 142~146원(중기 저항), 돌파 시 155원 이상(장기 저항).


시나리오 B — 단기(데이/스캘프)

- 진입 조건: 60분에서 강한 양봉 + 거래량(최근 평균 대비 현저한 증가) + MFI/RSI 동반 상승.

- 손절: ATR(60분)×1.0~1.5 또는 직전 60분 저점(예: 133원 하회 시).

- 목표: 단기 저항 138~140원에서 부분익절, 빠르게 청산.


시나리오 C — 숏(고위험)

- 진입 조건: 240분 또는 일봉에서 반등 실패 후 재하락(구름/MA 저항 유효) 확인.

- 손절: 반등이 강해 구름 상향 돌파 시 또는 진입가 대비 ATR×1.5.

- 목표: 단기 지지(133–135원) → 구조적 저점(약 123원)로 분할 익절.




6) 리스크 관리·포지션 계산 예시



  • 계좌 원칙: 한 거래의 최대 허용 손실 1~3% 권장.

  • 계산 예시(간단):

  • 계좌 총자산 100만 원, 허용 손실 2% = 2만 원.

  • 손절폭이 5%라면(진입가 대비) 허용되는 포지션 금액 = 2만 ÷ 0.05 = 40만 원.

  • 실제 적용 시 레버리지·수수료·심리요인 반영해 더 보수적으로 줄일 것(예: 포지션을 20–30% 수준으로 낮춤).

  • 손절 실행 규칙: 손절가는 반드시 주문에 넣고, 감정 개입으로 손절을 미루지 않음.




7) 체크리스트(매매 전 반드시 확인)



  • 일봉: 구름·장기 MA 정렬(하락 vs 상승) 확인.

  • 240분: 반등에 거래량이 동반되는지 확인.

  • 60분: 진입 캔들에 거래량·MFI·RSI가 일관된 신호를 주는지 확인.

  • 시장 컨텍스트: 비트코인·알트 전체 흐름과 뉴스(거래소 이슈·대형 체결) 체크.

  • 주문 세팅: 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설정 여부.




8) 즉시 권장 액션(우선순위)



  1. 현재(135원) 상황: 상위 하락 추세 유지로 ‘관망(대기)’ 권장.

  2. 단기 기회: 60분에서 강한 거래량 동반 양봉이 나오면 소규모 진입 가능(엄격 손절).

  3. 중·장기 진입: 일봉과 240분에서 동시 신호(구름 돌파+거래량) 확인 후 분할매수로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