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분·4시간·일봉을 순서대로 같은 논리로 읽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현재는 182~186원 박스권 수렴(변동성 축소) 구간이며, 거래량·ATR 모두 줄어든 상태라 방향성은 “돌파/이탈 확인 후 추종”이 합리적입니다.
ATR14 약 10대 → 과거 대비 하락세. 방향성 장대 캔들이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4시간봉
해석: 단기 매물 소화 중으로, 추세 추종보다는 박스 트레이딩/돌파 대기 적합.
60분봉
논리적 귀결: 상·중·하 모든 주기가 “중립 + 저변동”으로 일치합니다. 이런 국면에서는 방향 예측보다 “조건부 시나리오 + 확인 후 대응”이 오류를 줄입니다.
상승 시나리오(확률 조건: 60분 기준 종가 돌파 + 거래량 동반)
1) 186.5원 상향 종가 돌파
2) 되돌림 시 185.5~186 지지 확인
3) 목표: 190원(단기), 이어 193~196원 테스트
4) 실패·무효화: 185 하회로 마감 시 재박스 복귀 판단
하락 시나리오(조건: 182원 하향 종가 이탈 + 거래량 증가)
1) 182 하향 종가 이탈
2) 되돌림에서 182 저항 전환 확인
3) 목표: 180 → 177, 심리선 붕괴 시 171 부근까지 하단 밴드 접촉 가능
4) 무효화: 183.5~184 회복 후 1시간봉 안착
중립 시나리오(현재 베이스)
예상 가격 흐름(1~3일): 182~186 박스 박스핑(상·하테스트) → 한쪽으로의 종가 돌파 → 거래량이 붙는 방향으로 4~10원 확장.
논리: 밴드·ATR 축소 구간의 평균회귀 플레이
돌파 추종(보수적)
논리: 공급대 상단 종가 돌파 + 볼린저 확장 초입 포착
이탈 추종(보수적)
포지션 크기: 1회 손실을 계정의 0.5~1.0% 이내로 제한(저변동 구간 특성상 잦은 페이크 가능성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