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KRW 차트를 절차적으로 꼼꼼히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대상 타임프레임: 일봉·주봉·월봉
활용 요소: 이동평균(5·10·20·60·120), 볼린저 밴드, RSI, MFI, 거래량, ATR
현재 관찰 시점은 업로드 이미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1) 구조적 추세 진단
- 일봉
- 큰 양봉이 전저점대(약 0.000846)에서 직립 반등을 만들었습니다. 거래량이 최근 대비 크게 증가하면서 신뢰도가 있는 “반등 이벤트”로 보입니다.
다만 5·10·20일선은 아직 하향 정렬(역배열)이며, 이번 양봉으로 5일선 근처까지 단번에 도달/상회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추세 전환이라기보다는 강한 기술적 반등 단계입니다.
주봉
- 장기간 하락 후 하단 밴드 부근에서 작은 양봉 전환 시도. 주봉 MFI가 50 내외, RSI 40대 초반으로 바닥권에서 회복 초기입니다.
주봉 20·60EMA가 위에서 눌러 있어 위쪽 저항대는 단계적으로 빽빽합니다.
월봉
- 장기 박스 하단 영역(0.00085~0.00095)에서 반등 캔들 시도. 월봉 RSI는 40대 중반, 장기 과열은 전혀 없는 상태라 “반등 공간”은 있으나, 추세 반전 확정까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해석: 장·중기 추세는 아직 하락 잔재가 남아 있고, 현재는 “강한 단기 리바운드 시작”으로 보는 게 보수적입니다.
2) 모멘텀·과열 상태
- RSI(일봉) 약 58대로 중립 상단에 진입. 과열은 아니지만, 당일 상승 폭이 커서 단기 눌림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 MFI(일봉) 50대 초중반으로 자금 유입이 확인됩니다. 다만 지속성은 다음 1~2거래일의 거래량 유지가 관건입니다.
- 주봉 RSI 42대, MFI 53대: 중기 반등 여지 존재. 주봉 기준 50 돌파는 추세 반전 신뢰도를 높이는 트리거가 됩니다.
요약: 단기 모멘텀은 살아났고, 상위 타임프레임은 회복 초입. “과열 급반등 후 눌림” 가능성에 대비해야 합니다.
3) 수급·변동성
- 거래량
- 일봉에서 급증 거래량 동반 장대양봉은 강한 쇼트 커버/매수 유입 신호입니다. 다음 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과도하게 감소하면 일시적 이벤트일 수 있으니 유의가 필요합니다.
- ATR
- 일봉 ATR이 급등했습니다. 변동성 확대 국면으로 손절·포지션 sizing이 핵심입니다.
4) 핵심 가격 레벨(당분간의 분기점)
핵심 포인트: 0.000880 유지 여부가 반등 지속의 1차 관문, 0.000930~0.000958 돌파/안착이 “연장파”의 신호입니다.
5) 시나리오별 실행 계획(교육용)
6) 리스크 관리 체크리스트
-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 레버리지 지양, 포지션 크기 축소.
- 1회 진입 손실 한도를 계좌의 0.5~1%로 제한.
- 반드시 분할 진입·분할 청산, 진입 전에 손절가를 고정.
- 추격 매수는 “거래량 유지+종가 안착” 조건이 동반될 때만 선택.
7) 한눈에 요약
- 강한 거래량을 수반한 장대양봉으로 단기 바닥에서 모멘텀이 살아났습니다.
- 0.000880 유지 시 반등 지속 확률이 높고, 0.000930~0.000958 돌파·안착 시 0.00098~0.00100 구간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 다만 중장기 역배열은 아직이며, 반등 실패 시 되돌림이 깊어질 수 있으니 손절·크기 관리가 최우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