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KRW 차트를 절차적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대상 차트: 60분, 240분(4시간), 일봉
활용 지표: 이동평균(5·10·20·60·120), 볼린저 밴드, MFI, 거래량, ATR, RSI
1) 추세 구조 파악
- 일봉
- 연속 하락 이후 저점권(0.00083대)에서 짧은 양·음 혼조. 여전히 5·10·20일선이 하향 정렬(역배열)이며 가격은 밴드 하단 부근에 머뭅니다.
중기 추세 전환 신호는 부족하고, 현재는 기술적 반등 시도 구간으로 해석됩니다.
4시간봉(240분)
- 하락 추세선 아래에서 저점 다지기 형태의 옆걸음. 5·10EMA는 거의 수평, 20·60EMA는 하향으로 상단 압력 지속.
캔들이 밴드 하단에서 중단선 근처까지 짧은 반등을 반복하나, 상단 돌파가 이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60분봉
- 0.000837~0.000840 박스 하단에서 반등, 0.000838~0.000840 구간을 중심으로 진동. 위쪽은 0.000842~0.000845에서 반복 저항.
- 단기 이평(5·10·20)이 좁게 수렴해 있어 방향성 이탈이 임박한 모습입니다.
해석: 상·중기 하락 추세는 유효, 단기만 박스권에서 방향성 대기. 추세 추종보다는 신호 확인 후 단타 대응이 유리합니다.
2) 모멘텀·과열 체크
결론: 과매도는 완화됐지만 모멘텀 회복이 약해, 추격 매수는 비추천입니다.
3) 수급·변동성
4) 핵심 가격 레벨
- 즉시 지지
- 0.000832~0.000836: 최근 바닥권. 이탈 시 하방 가속 위험.
- 단기 저항
- 0.000842~0.000845: 60분 20~60EMA와 밴드 중단선 겹침.
- 상단 저항(확장)
- 0.000858~0.000870: 4시간 20EMA 및 최근 낙폭 시작대.
- 0.000885~0.000900: 일봉 단기 이평 밀집, 추세 반전 관문.
핵심: 0.000845 상향 안착이 단기 모멘텀의 분기점입니다.
5) 시나리오별 실행 가이드(교육용 예시)
6) 리스크 관리 체크리스트
- 1회 진입당 계좌 손실 0.5~1% 제한.
- 진입 전 손절가를 먼저 확정하고 분할 진입·분할 청산.
- 변동성 확대 시 지정가·조건부 주문으로 미끄러짐 관리.
- 상위 타임프레임 신호와 합치될 때에만 보유 기간 확대.
7) 한줄 요약
- 다중 타임프레임 역배열 하락은 유효하며, 단기 박스권에서 방향성 대기 중입니다.
- 0.000845 안착 시 0.000858→0.000870 테스트, 0.000832 이탈 시 하락 재개로 보수 대응이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