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토렌트(BTT/KRW) 차트(60분·240분·일봉)를 바탕으로 요청하신 대로 “꼼꼼하고 단계적이며 절차적인 사고” 흐름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내부 추론의 원문(생각 그 자체)은 제공하지 않고, 제가 어떤 항목을 어떤 순서로 확인했고 그 근거로 어떤 결론과 실전 규칙을 도출했는지 단계별로 명확히 정리해 드립니다. 시점 기준은 이미징된 캡처 기준(2025-11-04 오전 근접)입니다.
한 문장 요약
- 전체 판단: 상·중·단기(월·주·일/240분/60분) 모두 기본적으로 하방 우위이나, 단기(60분)에서 거래량·가격의 저점 탐색과 소규모 반등 시도가 관찰됩니다. 상위추세 전환 신호(구름/주봉·일봉 돌파 + 거래량 회복) 확인 전까지는 관망 우선이며, 단기 진입은 거래량·지표 동반 확인 후 소규모·엄격 손절로만 접근하시길 권장합니다.
1) 분석 절차(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가)
- 상위(월·주) 구조 확인 — 목적: 전체 매매 태도(롱/숏/관망) 결정(일목구름, 장기 MA 정렬, 월·주 ATR·MFI)
- 중간(240분) 확인 — 목적: 반등의 지속성·저항 위치 확인(구름 하단, 중기 MA, 거래량 변화)
- 단기(60분) 확인 — 목적: 진입 타이밍·손절폭 산정(캔들 몸통·꼬리, 거래량, RSI/MFI, ATR)
- 지지·저항 레벨 산출 → 시나리오(보수·단기·숏) 수립 → 포지션·리스크 규칙 적용
(우선순위: 캔들 → 거래량 → 상위추세)
2) 차트별 핵심 관찰 및 의미 (이미지 기준 근사치)
- 공통 관찰 포인트
- 현재표시 가격: 약 0.000675 KRW(이미지 상 표기).
- 전반적 특징: 장기 구름(일목) 아래, 각종 장·중기 이동평균(색상 선들) 하방 정렬 — 구조적 약세.
- 거래량: 최근 240분·일봉에서 일부 큰 거래량 스파이크 관찰 → 단기 모멘텀 유입 시점 존재.
모멘텀·자금지표: RSI는 저점권~저중립, MFI는 비교적 낮거나 회복 전 단계, ATR은 단기에서 상승 후 소폭 유지(변동성 확대 징후).
월봉(장기)
- 관찰: 가격이 구름 아래, 월간 거래량은 급락 후 낮은 수준 유지. 월 ATR은 장기 축소 추세이나 변동성 잔존.
의미: 장기적 하방 우위. 월봉 리버설(진정한 전환)을 보려면 월 종가 기준 구름 상향 돌파와 거래량 대폭 회복 필요.
주봉(중기)
- 관찰: 주봉 구름 하단이 주요 저항, 주간 이동평균도 하향, 주봉 MFI·RSI 약세권.
의미: 중기 전환 신뢰도 낮음. 주봉 단위의 구름·MA 돌파가 없으면 중기 상승 기대는 제한적.
240분(중간)
- 관찰: 연속 하락 구간 후 거래량이 최근 크게 늘었고 봉들이 단기간 내 비교적 큰 몸통을 형성(하방 가속 구간 포함). 240분 ATR 상승(단기 변동성 확대).
의미: 단기 급락 후 ‘거래량 동반한 반등/체결’이 있었으나 상위 저항(구름·중기MA)에서 강한 저항 가능.
60분(단기)
- 관찰: 여러 60분 봉에서 아랫꼬리(저가 탐색)와 작은 실체 캔들이 반복되며 최근 거래량 증가와 함께 소폭 반등 봉 관찰. RSI(60)는 저점권에서 소폭 회복. MFI(60)는 여전히 완전 회복 전. ATR(60)은 최근 확대되어 손절 폭은 어느 정도 확보 필요.
- 의미: 단기적으로 바닥 조정·저가 탐색 국면. 거래량을 동반한 연속 양봉(확인봉)이 나타나면 단기 반등을 조건부로 인정 가능.
3) 지지·저항(이미지 기준 근사값)
- 단기 지지: 약 0.00066–0.00068 (최근 저점군)
- 단기 저항: 약 0.00070–0.00073 (최근 봉 상단·단기 MA)
- 중기 저항: 약 0.00076–0.00080 (240분 MA·구름 하단 인근)
- 장기 저항: 0.00084 이상(월봉 구름/장기 MA)
- 하방 리스크: 지지 이탈 시 0.00060대 중후반 → 0.00055~0.00050까지 열릴 수 있음
(주의: 숫자는 이미지 기준 근사치입니다. 실거래 전 실시간 호가로 반드시 재확인하세요.)
4) 캔들·거래량·지표별 실전 해석(단계적 포인트)
- 거래량 스파이크 + 큰 음봉/양봉
- 무엇을 보았나: 240분·일봉에서 거래량 급증이 있었음.
- 의미: 큰 자금이 들어오거나 대량 체결이 발생했음을 의미. 급락 구간에서 거래량 급증은 출회(청산)일 수 있고, 급등 시는 모멘텀 시작일 수 있음.
실전 규칙: 스파이크 뒤 1~3봉의 거래량/종가 지속 확인 필요. 이어지는 봉이 거래량·종가를 유지하면 신뢰도 상승.
아랫꼬리(저가 탐색)
- 무엇을 보았나: 60분·일봉에서 아랫꼬리가 여러 번 관찰됨.
- 의미: 저가에서 매수대형 관심 혹은 주문 흡수가 있었음을 시사. 하지만 단독으로는 반전 확정이 아님.
실전 규칙: 아랫꼬리 뒤 확실한 양봉 + 거래량 동반을 확인한 후 소량 진입 고려.
RSI·MFI
- 무엇을 보았나: RSI 저점권(30대 근접), MFI는 약하거나 회복 전.
- 의미: 기술적 반등 가능성은 있으나 자금 유입(MFI)이 동반되지 않으면 지속성 약함.
실전 규칙: RSI 회복 + MFI 동반 상승 확인 시 신뢰도 상승.
ATR(변동성)
- 무엇을 보았나: 단기 ATR이 최근 상승(변동성 확대).
- 의미: 손절 폭을 너무 좁게 잡으면 노이즈에 의한 체결 위험이 높음.
- 실전 규칙: 손절 폭은 ATR 기반으로 현실적으로 설정하되 포지션 규모는 줄여 리스크 관리.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절차적·구체적)
공통 원칙: 상위추세(주·월)가 하락 상태이므로 롱은 분할·보수, 숏은 경험자만(손절 즉시 실행).
- 시나리오 A — 보수적 스윙(권장)
- 선행조건: 일봉 또는 주봉에서 구름(종가 기준) 상향 돌파 + 거래량 회복(평균 대비 유의한 증가).
- 행동: 돌파 확인 후 3단계 분할 진입(초기 30% → 확인 후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 하회 시 전량 청산 또는 일봉 ATR×1.5 기준.
목표: 1차 중기 저항(0.00076–0.00080), 돌파 시 장기 저항으로 상향 조정.
시나리오 B — 단기 데이 트레이드(조건부·소규모)
- 선행조건(60분): 연속 2봉 이상의 거래량 동반 강한 양봉 + RSI/MFI 동반 개선.
- 행동: 소규모 진입(계좌의 0.5%~1% 위험 한도 권장).
- 손절: 직전 60분 저점(예: 0.00066 하회) 또는 60분 ATR×1.0~1.5.
목표: 단기 저항(0.00070–0.00073)에서 부분익절, 탄력 확인 시 추가 보유.
시나리오 C — 숏(고위험)
- 선행조건: 반등이 240분/일봉 저항에서 거래량 동반 실패(강한 음봉) 시.
- 행동: 소규모 숏 진입(경험자만).
- 손절: 반등이 구름 상향 돌파 또는 연속 강양봉 발생 시 즉시 청산.
- 목표: 단기 지지(0.00066–0.00068) → 이탈 시 다음 저점으로 분할 익절.
6) 리스크 관리·포지션 사이징(실전 계산 예시)
- 원칙: 한 거래의 최대 손실을 계좌의 1~3%로 제한.
- 예시(계좌 1,000,000원, 허용손실 2% = 20,000원)
- 단기 예: 진입 0.00068, 손절 0.00066(손절폭 0.00002 ≒ 2.94%)
- 이론적 허용 포지션 금액 = 20,000 ÷ 0.0294 ≈ 680,272원(이론)
- 실전 권장: 수수료·슬리피지·심리 고려해 이론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약 204k–408k원 권장.
- 손절은 항상 주문과 동시에 지정(조건부·지정가)으로 넣고 감정 개입으로 미이행하지 마십시오.
7) 주문 전 5초 체크리스트(반드시 확인)
- 상위(주·월): 구름 아래인가? → 네 → 관망 우선.
- 240분: 구름 돌파·거래량 동반 신호가 있는가? → 아니면 대기.
- 60분: 진입 봉에 거래량·RSI·MFI 개선이 동반되는가? → 네일 때만 소규모 진입.
- 외부 변수: 글로벌 시세(비트코인 등), 거래소 공지·대형체결 뉴스 확인.
- 주문 세팅: 진입가·손절가·익절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완료.
8) 즉시 권장 행동(우선순위)
- 관망(우선) — 상위 추세 전환(주·월 구름 돌파 + 거래량 회복) 확인 전까지 신규 롱 비중 확대 자제.
- 보유자: 일부(30–50%) 익절 고려 — 잔여는 엄격 손절(예: 0.00066 하회 시 청산) 권장.
- 단타 희망자: 거래량 동반 연속 양봉(최소 2봉) 및 RSI/MFI 개선 동시 확인 시 소규모 진입(포지션 작게).
- 숏 전략: 경험자만 — 변동성·유동성 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