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bttcoin 25.11.3

neoniki1234 - 2025-11-03 00:55:03

BTT/KRW 차트(일·주·월 화면)를 기준으로 “꼼꼼하고 단계적이며 절차적 사고” 방식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내부적인 사고(체인오브소트)는 제공하지 않고, 제가 어떤 항목을 어떤 순서로 확인했는지와 그 근거·결론·실전 적용만 단계별로 명확히 정리하겠습니다.


요약(한 문장)



  • 전반 판단: 상·중·단기 모두 하방 구조가 유지되는 가운데, 최근 단기(일·60분)에서 약한 지지·소규모 반등 신호(거래량 일부 회복·RSI 개선)가 관찰됩니다. 상위 추세 전환 확인 전까지는 관망이 우선이며, 진입은 거래량·지표 동반 확인 후 소규모·엄격 손절로만 접근하십시오.


분석 순서(절차)



  1. 상위구조 확인(월봉) — 장기 추세·구름·장기 MA·월간 거래량·월 ATR/MFI

  2. 중기확인(주봉) — 구름·주간 MA·주봉 거래량·ATR/MFI 경향

  3. 단기확인(일봉·60분) — 캔들(바디·윗·아랫꼬리), 거래량, RSI·MFI·ATR(손절 폭 산정)

  4. 지지·저항 레벨 산출(차트 시각값 근사)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보수·단기·숏) 및 포지션·손절 예시

  6. 주문 전 체크리스트 및 즉시 권장 액션




1. 월봉(장기) — 무엇을 보았고 의미는?



  • 확인 항목: 일목구름 위치(가격이 구름 아래), 장기 이동평균의 정렬(하향), 월간 거래량, 월 ATR·MFI.

  • 차트 근거: 가격이 구름 아래에 있고 큰 폭의 과거 급락 후 회복 없이 저평가 구간에 머무름. 월간 거래량은 급락 시 이후로 줄어든 상태. 월 ATR은 감소 추세이지만 변동성 잔존. MFI는 중상단에서 하락 추세(자금 유입 약화).

  • 의미: 장기적으로 ‘하방 우위’ 상태. 월봉 수준의 구조적 반전(진정한 상승 전환)을 보려면 월봉 종가 기준 구름 상향 돌파 + 월 거래량 의미 있는 회복이 필요.




2. 주봉(중기) — 무엇을 보았고 의미는?



  • 확인 항목: 주봉 구름·중기 MA 위치, 주간 거래량 바, 주 ATR·MFI·RSI 추세.

  • 차트 근거: 주봉에서 구름 하단이 저항대 역할을 하며 가격이 그 아래를 벗어나지 못함. 주간 거래량은 일부 스파이크가 있으나 전반적으론 약화. 주 ATR은 하향, 주 MFI도 하락세로 중기 자금 흐름 약함.

  • 의미: 중기 전환 신뢰도 낮음. 중기 매수 판단은 주봉 구름 돌파(종가 확인)·거래량 동반이 확보될 때까지 보수적이어야 함.




3. 일봉·단기(진입 관점) — 무엇을 보았고 의미는?



  • 확인 항목: 일봉 캔들 패턴(아랫꼬리, 작은 몸통), 거래량 바, RSI·MFI(일·60분), ATR(일·60분).

  • 차트 근거:

  • 최근 일봉에서 아랫꼬리(저가 탐색) 다수 관찰 → 저가 매수 시도 존재.

  • 거래량: 특정 봉에서 큰 스파이크(급격한 체결) 후 평균 이하로 회귀. 최근 반등 구간에서 거래량 일부 회복 관찰.

  • RSI(일·60): 저점권에서 소폭 반등. MFI는 자금 유입 회복이 제한적(완전 회복 전). ATR(일)은 비교적 낮아 손절범위 현실적으로 산정 가능.

  • 의미: 단기적으로는 ‘바닥 다지기 → 소규모 반등’ 가능성 존재. 그러나 상위추세(주·월)가 하락인 점을 고려하면 역행 롱은 위험하므로 거래량을 동반한 연속 양봉(확인봉) 확인 시에만 소규모 진입 권장.




4. 핵심 지지·저항(차트에서 읽은 근사값)


(이미지 기준 근사치 — 실거래 전 실시간 호가로 재확인하세요)

- 즉시 단기 지지: 약 0.00071–0.00073 (최근 저점군)

- 단기 저항: 약 0.00074–0.00076 (단기 MA/최근 고점)

- 중기 저항: 약 0.00077–0.00080 (240분/주봉 구름 하단·중기 MA)

- 장기 저항: 0.00084 이상(월봉 구름·장기 MA)

- 하방 리스크: 지지 이탈 시 0.00070대 후반 → 0.00065~0.00060 영역 가능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단계적·구체적)


공통 원칙: 상위추세가 약세인 상태, 롱은 분할·보수, 숏은 경험자만(손절 엄격).


A)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240분 또는 일봉에서 구름 상향 돌파(종가 기준) + 거래량 회복(평균 이상)

- 진입 방식: 돌파 확인 후 3단계 분할(초기 30% → 확인 후 30% → 확신 시 잔여)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또는 일봉 ATR×1.5) 하회 시 청산

- 목표: 중기 저항(예: 0.00077–0.00080)에서 부분익절, 돌파 시 상향 목표 재설정


B) 단기 데이 트레이드(조건부·소규모)

- 진입 조건: 60분에서 강한 바디의 양봉 연속(최소 2봉) + 거래량 급증 + RSI·MFI 동반 개선

- 손절: 직전 60분 저점(예: 0.00071 하회) 또는 60분 ATR×1.0~1.5

- 목표: 단기 저항(0.00074–0.00076)에서 부분익절

- 포지션: 계좌의 0.5%~1% 리스크 권장


C) 숏(고위험)

- 진입 조건: 단기 반등이 240분/주봉 저항에서 거래량 동반 실패 시(강한 음봉)

- 손절: 반등이 구름 상향 돌파하거나 연속 강양봉 발생 시 즉시 청산

- 목표: 단기 지지(0.00071–0.00073) → 이탈 시 다음 저점으로 분할 익절




6. 리스크 관리·포지션 산정 예시



  • 원칙: 한 거래당 손실을 계좌의 1~3%로 제한.

  • 예시(계좌 1,000,000원 가정, 허용 손실 2% = 20,000원)

  • 단기 예: 진입 0.00074, 손절 0.00071(손절폭 0.00003 ≈ 4.05%)

  • 이론 허용 포지션(원화 환산 방식 가정)을 단순 계산하면 ≈ 20,000 ÷ 0.0405 ≈ 493,827원(이론)

  • 실전 권장: 슬리피지·수수료 고려해 이론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약 148k–296k원 권장

  • 손절은 반드시 주문과 동시에 지정(조건부)으로 걸어 두고 감정 개입으로 미이행하지 마십시오.




7. 주문 전 5초 체크리스트(필수)



  1. 상위(주·월): 구름 아래 하락인가? → 네(그렇다면 관망 우선).

  2. 240분: 구름 돌파·거래량 동반 신호 있는가? → 아니면 대기.

  3. 60분: 진입 캔들에 거래량·RSI·MFI 개선이 동시에 나타나는가? → 네일 때만 소규모 진입.

  4. 외부 요인: 글로벌 시세(비트코인 등), 거래소 공지·대형체결 뉴스 확인.

  5. 주문 세팅: 진입가·손절가·목표가·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완료




즉시 권장 액션(우선순위)



  1. 관망 우선 — 상위 전환 신호(구름 돌파·주봉 종가 회복·거래량 지속 증가) 전까지 신규 롱 비중 확대 금지.

  2. 보유자: 일부(30–50%) 익절 고려 — 잔여는 엄격 손절(예: 0.00071 하회 시 청산) 권장.

  3. 단타 희망자: 거래량 동반 연속 양봉(최소 2봉) 및 RSI/MFI 개선 확인 시 소규모 진입(포지션 작게).

  4. 숏 전략은 경험자만 — 변동성·유동성 위험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