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KRW 차트(60분·240분·일봉)를 단계적으로 절차적 사고로 꼼꼼히 분석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단기(60m)는 횡보에서 약한 매수 신호 시도, 중간(240m)·일봉은 여전히 상위 저항(이치모쿠 구름·중기 MA) 아래에 있어 ‘확실한 추세 전환’ 신호가 확인되기 전까지는 보수적 접근이 합리적입니다. 아래에서 각 시간대 관찰, 지표 해석, 지지·저항 레벨, 구체적 매매 절차(진입·손절·목표)와 체크리스트를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1단계 — 분석 목표·방법 정의 (절차적 사고)
- 목표: 다중시간대 관점에서 ‘추세 방향성’과 ‘모멘텀 신뢰도’를 판단하고, 실전에서 적용 가능한 명확한 매매 조건을 제시.
- 순서: 상위시간대(일봉) → 중간(240분) → 단기(60분)로 내려오며 추세·지지·저항을 확인 → 모멘텀(RSI/MFI)과 거래량/ATR로 신뢰도·손절 폭 판단 → 진입·손절·익절 규칙 수립.
- 사용 지표: 이동평균(단기~장기), 이치모쿠(구름), 볼린저/밴드(보이는 경우), 거래량, RSI(14), MFI(14), ATR(14).
2단계 — 일봉(상위추세) 관찰
- 전체 흐름: 최근 장기 하락 구간에서 바닥권(저점군) 형성 후 소폭 반등 시도 관찰. 그러나 가격이 이치모쿠 구름 아래에 머물러 있어 상단 저항이 강함.
- 거래량: 반등일(양봉)에서 거래량이 증가했지만, 주봉·월봉 레벨의 거래량 강도가 동반되지 않아 장기 전환 신뢰도는 낮음.
- RSI/MFI: RSI는 바닥권에서 회복 중이나 중립 이하(약 35~45 수준)로 완전한 전환 신호 아님. MFI는 자금 유입이 약함을 시사.
- ATR: 최근까지 변동성은 감소했다가 반등 구간에서 소폭 상승 — 변동성 확대 가능성 존재.
결론(일봉): 상위 추세는 아직 완전한 전환 아님. 장기 매수는 분할매수(체계적 평균매수) 권장.
3단계 — 240분(중간) 관찰
- 흐름: 최근 며칠간 횡보 후 상단(단기 MA·이치모쿠 저항)에서 저항 확인. 소폭 상승 시도 있으나 지속성 부족.
- 거래량: 중간 타임프레임에서 돌파 시 거래량 동반 여부가 관건 — 지금은 일부 양봉에서 거래량 증가 관찰됨.
- RSI: 약간의 상승 모멘텀(중립 근처) — 추세 전환 전 단계 가능성.
- ATR: 낮은 편에서 안정적, 단기 손절 폭은 작게 잡기보단 평균 대비 여유 있게 설정 권장.
결론(240m): 돌파 시 거래량 동반 여부가 중요. 실패할 경우 재하락 가능성 높음.
4단계 — 60분(단기) 관찰
- 흐름: 단기적으로 횡보 박스에서 상하행 움직임이 반복되고 있음. 최근 캔들에서 작은 반등과 거래량 소폭 증가 확인.
- 모멘텀: RSI ~49 수준으로 중립. 단기 모멘텀은 불확실하지만 ‘단기 스윙’은 가능.
- 거래량·ATR: 최근 몇 봉에서 거래량이 회복되는 모습. ATR은 낮아 손절을 너무 촘촘히 하면 ‘노이즈’에 걸릴 위험 있음.
결론(60m): 단기 반등을 이용한 스윙/스캘핑은 가능하나 리스크 관리(손절)를 엄격히 할 것.
5단계 — 지지·저항 및 관찰 레벨 (현재가 0.000708 기준)
- 즉각적 단기 지지: 약 0.000695–0.000700 (최근 저점군)
- 추가 하방 지지: 약 0.000670–0.000650 (이전 저가 및 거래량 지지대)
- 즉각적 단기 저항: 약 0.000725–0.000735 (단기 고가·단기 MA)
- 중기 저항(중요): 약 0.000770–0.000820 (이치모쿠·중기 이동평균군)
- 상위 저항(강함): 약 0.00130 부근(주봉·월봉 레벨) — 이 구간까지는 돌파 난이도 큼
(레벨은 차트 확대/세팅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으니 실제 주문 전에 본 가격대 확인 권장)
6단계 — 구체적 매매 절차(진입·손절·목표)
- 포지션 크기 설계(원칙)
- 계좌대비 리스크 1% 권장(보수), 최대 2%(공격적). 손절폭 × 투자금액 ≤ 리스크 한도.
- 손절 설정(예시)
- 단기 스윙(60m 기준): 최근 저점(예: 0.000695) 아래에 ATR(60m) × 1.5 여유폭 설정.
- 일반 스윙(240m/일봉 고려): 일봉 최근 저점(0.00065~0.00067) 아래에 ATR(일) × 1.0–1.5 적용.
- 진입 조건(우선순위)
1) 60m에서 명확한 지지 확인(반등 캔들 + 거래량 증가) → 소량 진입
2) 240m에서 단기 이동평균(5/10MA) 상향 돌파 + 거래량 동반 → 추가 진입(비중 확대)
3) 일봉에서 구름 돌파 또는 주봉 모멘텀 개선 시 점진적 비중 확대
- 익절(목표) 전략
- 분할 매도 권장: 1차 목표 = 단기 저항(0.000725–0.000735)에서 30–50% 매도
2차 목표 = 중기 저항(0.000770–0.000820)에서 추가 30%
나머지 20–40%는 상위 저항 도달 시 매도
- 재평가 시점: 손절 맞고 청산 시 동일한 진입 전략을 다시 사용할지 여부는 ‘거래량·모멘텀 재확인’ 후 결정.
7단계 — 체크리스트(매매 전 반드시 점검)
1) 상위(일봉) 추세: 구름 아래인가? 전환 신호가 있는가?
2) 돌파가 거래량으로 뒷받침되는가? (거래량이 이전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증가)
3) RSI/MFI: RSI가 연속 상승 중인지, MFI가 자금 유입을 보이는가?
4) 손절폭은 ATR 기반으로 합리적으로 설정했는가?
5) 뉴스·온체인·대형 지갑 이동(Whale) 등 이벤트는 없는가?
6) 목표별 분할익절 계획과 포지션 크기 규칙(리스크%)을 확정했는가?
8단계 — 시나리오별 권장 행동
- 보수(권장): 관망 또는 소량 분할매수. 일봉에서 구름 돌파·주봉 모멘텀 개선 확인 시 비중 확대.
- 단기 트레이드: 60m에서 지지+거래량 확인 후 소량 진입, 목표는 단기 저항, 손절은 60m 저점 아래.
- 공격적 스윙: 240m에서 이동평균 돌파·거래량 동반 시 중간 비중 진입, 손절은 일봉 저점 기반.
9단계 — 추가 권장(리스크 관리·실무)
- 자동 알림 설정: 60m/240m에서 ‘거래량 급증 + MA 교차’ 조건에 대해 알림을 걸어두면 감정적 실수 감소.
- 거래 로그 기록: 진입·손절·익절 기록을 남겨 전략 검증(승률·수익비)을 주기적으로 체크.
- 뉴스 모니터링: 토큰별 대형 이슈(발행·소각·상장/상장폐지·팀 공지 등)는 기술적 분석 무력화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