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KRW) 차트 절차적 분석
올려주신 60분·240분·일봉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황 정의 → 구조 점검 → 시나리오 → 실행 기준” 순서로 깔끔히 정리해 드립니다.
전제: 최근 급등 이후 변동성(ATR)이 빠르게 식는 구간으로, 돌파에는 거래량 컨펌이 필수입니다.
60분봉(초단기 흐름)
- 가격/밴드: 상단 밴드에 닿을 때마다 윗꼬리, 밴드 폭은 보통 수준 → 상단 박스 공방.
- 이평: 5·10·20 이평이 가까이 모인 완만한 정배열. 방향은 상방이나 탄력은 약화.
- 오실레이터:
- MFI 약 48로 중립대(자금 유입 평이).
- RSI 51~52로 중립 살짝 상방.
- 거래량/ATR: 거래량 감소, ATR 하락세 → 가짜 돌파 가능성 유의.
- 해석: “힘 모으는 박스.” 0.000869 상단 탈출엔 거래량 동반이 관건입니다.
240분봉(단기 스윙)
- 가격/이평/밴드: 5·10·20 이평 위 유지하며 상단 밴드 근처에서 옆걸음. 위로 60·120 이평이 눌러주는 구조.
- MFI 60대 초반, RSI 57대 → 모멘텀은 살아 있으나 과열은 아님.
- 해석: 0.000860대 지지 유지 시 상방 재시도 유효. 다만 상단에서 매물 소화 필요.
일봉(중기 톤)
- 흐름: 하락 추세 속 반등파 진행, 현재 0.000866 수평저항과 20일선 하향선 사이에서 테스트.
- 볼밴: 하단 반등 후 중단선 접근. 중단선은 여전히 하향 기울기라 저항으로 작동 가능.
- MFI 67 근처(상대적 고역), RSI 42→47로 회복 중.
- 해석: “반등 파동의 연장” 단계이며, 0.000880 위로의 일봉 안착이 나와야 전환 신뢰가 높아집니다.
상승 시나리오(우호적)
- 트리거: 0.000869~0.000872 상향 돌파 + 60분 2봉 또는 240분 1봉 안착(종가)과 거래량 증가
- 목표/청산:
- 1차: 0.000880
- 2차: 0.000890(강한 매물/장기선 근접)
- 무효화: 0.000860 하향 이탈 시 절반 축소, 0.000852 종가 이탈 시 전량 정리
박스·조정 시나리오(중립)
- 트리거: 상단(0.000869) 반복 실패 + 거래량 둔화
- 대응: 0.000860~0.000862에서 반등 신호(저점 상승 + 거래량 유입) 확인 후 분할 접근
- 추가 눌림: 0.000848~0.000852 구간 테스트 시 반등 강도 확인 후 대응. 반등 약할 경우 관망 우위
하락 전환 시나리오(비우호적)
- 트리거: 일봉 종가 기준 0.000852 하향 + 거래량 증가 동반
- 대응: 롱 포지션 청산, 0.000840대 다음 지지에서 재평가
진입
- 돌파형: 0.000872 체결 후 60분 봉 마감으로 확인 → 계획 물량 30~40%
- 눌림형: 0.000861±0.000002에서 반등 캔들 + 거래량 동반 시 30~40% 분할
손절/축소
- 초기: 0.000859 이탈 시 30~50% 축소
- 강손절: 0.000852 종가 이탈 시 전량 정리
청산
- 1차 목표: 0.000880 도달 시 30~50% 익절
- 2차 목표: 0.000890에서 잔량 분할
- 추세 추종: 잔량은 60분 10이평 종가 이탈 시 트레일링 스탑
리스크 관리 포인트
- ATR이 낮아 “찔끔 돌파 후 되밀림” 확률이 높습니다. 돌파 진입은 반드시 거래량 증가가 확인된 봉 마감으로 컨펌하십시오.
- 일봉 MFI가 고역대라 급등이 와도 되돌림이 빠를 수 있습니다. 목표가에선 욕심을 줄이고 분할 청산을 우선하세요.
- 호가 얇은 구간이 있어 손절가를 너무 타이트하게 두면 ‘꼬리’에 잘릴 수 있습니다. 손절은 호가 2~3틱 여유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