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bttcoin 25.10.27

neoniki1234 - 2025-10-27 00:47:24

비트토렌트(BTT/KRW) 차트를 “꼼꼼하고 단계적으로, 절차적 사고 흐름”에 따라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저는 다음 순서로 접근했고 각 단계마다 무엇을 확인했는지, 그 근거와 실전에서 적용할 결론을 명확히 적어드리겠습니다.


요약(한 문장)

- 최근에 거래량 폭증을 동반한 급등(스파이크)이 발생했고 지표들은 과열·변동성 확대 신호를 보입니다. 단기적 반등 가능성은 있으나 확인되지 않은 추세 전환으로 판단되므로, 관망 후 확인된 신호에서 분할 진입 또는 소규모 스캘핑만 권합니다.


1) 분석의 절차(무엇을, 왜, 어떤 순서로 보는가)



  1. 상위 맥락 확인(월·주봉) — 왜: 구조적 추세(하락/상승 전환) 판단 → 매매 태도(관망/롱/숏) 결정

  2. 중기 확인(주·일봉) — 왜: 최근 움직임의 지속력(거래량, 구름·MA 위치)과 주요 저항·지지 판별

  3. 단기 확인(일·60·30분) — 왜: 캔들 구조(몸통·꼬리), 거래량 바, RSI/MFI/ATR로 진입·손절 규칙 설계

  4. 시나리오화(보수적/단기/공격적 숏) — 왜: 상황별 명확한 행동 규칙 제공

  5. 리스크 관리·체크리스트 — 왜: 급변 구간에서 손실 통제 및 실행 오류 방지


(항상 우선순위는: 캔들→거래량→상위추세)


2) 차트별 핵심 관찰(이미지 기준 요약)



  • 현재 표시 가격: 약 0.000765 KRW 부근(이미지 최상단).

  • 거래량: 최근 봉에서 큰 폭의 거래량 스파이크 발생(이전 평균 대비 수배~수십배). 이는 외부 유입·대량 체결 또는 급격한 매수세 유입 신호.

  • 캔들(일봉): 급등 봉이 형성되었고 위꼬리(혹은 큰 상단 그림자)가 관찰되는 구간이 있음(스파이크 봉 이후 일부 회복/조정 존재).

  • RSI / MFI: RSI·MFI가 급등했거나 상단 근처로 이동(일부 화면에서 과매수·자금 유입 과열 신호).

  • ATR: 일간 변동성(ATR)이 즉시 상승 — 손절·포지션 관리를 더 넉넉히 잡아야 하는 환경.

  • 상위(주·월): 월봉·주봉에서는 여전히 구름 아래·장기·중기 이동평균 하향 정렬(구조적 하락). 즉, 급등은 상위 추세를 바로 뒤집었다고 보긴 어렵다.


의미 종합: 대량 거래로 인한 급등이 발생했지만 상위추세가 하락인 상태에서는 ‘단기 펌프/스파이크 가능성’이 높고, 되돌림(급락) 위험도 매우 큽니다. 따라서 확인(후행) 신호 없이 과감한 베팅은 위험합니다.


3) 캔들·거래량·지표별 해석(교수님 스타일로 단계적)



  • 거래량 폭증 + 장대 양봉

  • 무엇: 대량 자금이 한 번에 유입되어 급가 상승.

  • 왜 중요한가: 모멘텀이 강하나, 유입 주체(투자자군)가 단기 차익 목적일 가능성 높음.


  • 실전: 장대봉 직후에는 ‘검증 기다림(다음 1~3봉 확인)’이 안전.




  • 윗꼬리(혹은 스파이크 후 긴 그림자)



  • 무엇: 고점에서 매도 압력으로 인해 일부 고점이 흡수된 흔적.

  • 의미: 급등 구간에서 이익실현 매물이 강하게 나왔을 가능성.


  • 실전: 보유자라면 일부 익절 고려, 신규진입은 신중.




  • RSI·MFI 과열



  • 무엇: 모멘텀이 과열되었음을 수치로 확인.

  • 의미: 자금 유입이 급격하나 과매수 상태로 곧 조정 가능성.


  • 실전: 반등을 노리려면 조정 후 거래량·지표 회복 확인 필요.




  • ATR 상승(변동성 확대)



  • 무엇: 당일/단기간 가격변동폭이 확대.

  • 의미: 손절 수준을 너무 좁게 잡으면 자주 탈출당함.

  • 실전: 손절은 ATR 기반으로 현실적 폭을 설정하되 포지션을 작게 유지.


4) 실전용 핵심 지지·저항(이미지 기반 근사치)



  • 단기 지지(즉시): 0.000740–0.000752 구간(최근 급등 전 레인지 및 저점).

  • 단기 저항(즉시): 0.000800 근처(스파이크 상단 접근 구간), 더 상단 스파이크 고점이 있으면 그 값.

  • 중기 저항: 0.000820–0.000880 범위(주봉 MA·구름 주변)

  • 하방 리스크: 지지 이탈 시 이전 평균 레인지(예: 0.00071~0.00072 또는 더 낮음)로 빠르게 내려갈 수 있음.


(숫자는 이미지 축과 표시를 근거로 근사 도출 — 실제 호가와 소수점 자릿수 차이 반드시 확인)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단계적·구체적)


공통 규칙: 상위추세가 하락인 상태에서 롱은 ‘확인 후 분할 진입’, 숏은 ‘경험자·엄격 손절’만 허용.



  • 시나리오 A — 보수적 관망(권장)

  • 기준: 일·주봉에서 거래량 동반한 안정적 지지(0.00074–0.00075 유지) + 다음 1~3봉의 양호한 종가 유지 확인.

  • 행동: 확인 후 소량(전체 예정 비중의 20~30%) 분할 진입.

  • 손절: 지지 이탈(예: 0.000735 하회) 시 전량 청산.


  • 목표: 단기 1차 목표 0.00080, 확인 후 추가 목표 상향.




  • 시나리오 B — 단기 스캘프(공격적·소규모)



  • 기준: 30~60분 봉에서 강한 거래량과 연속 양봉 출현.

  • 행동: 소규모 진입(계좌의 0.5~1% 위험 한도).

  • 손절: ATR×1.0 기준 또는 직전 30분 저점 이탈.


  • 목표: 즉시 1~3% 이익 실현(슬리피지 유의).




  • 시나리오 C — 숏(고위험)



  • 기준: 급등 이후 1~2봉 내 명확한 음봉·거래량 증가로 고점 매도세 확인 시.

  • 행동: 소규모 숏 진입(손절은 매우 타이트하게).

  • 목표: 단기 지지(0.00074 등) 및 분할 익절.

  • 주의: 변동성·스프레드·유동성 부족으로 숏은 리스크 매우 큼.


6) 리스크 관리·포지션 사이징(예제)


원칙: 한 트레이드 손실 허용을 계좌의 1% 내외 권장(급변 구간에서는 더 보수).



  • 예: 계좌 1,000,000원, 허용 손실 1% = 10,000원

  • 가정: 진입가 0.000760, 손절 0.000740(손절폭 0.000020 ≈ 약 2.63%)

  • 이론상 허용 포지션 금액 = 10,000 ÷ 0.0263 ≈ 380,000원(이론)


  • 실전 권장: 수수료·슬리피지·심리 고려해 이론치의 30–60% 적용 → 실제 포지션 114k~228k원 수준 권장




  • 손절 설정: 항상 주문과 동시에 지정(자동)으로 넣고, 감정 개입으로 손절을 미루지 않기.




7) 주문 전 체크리스트(실행 직전 필수 확인)



  • 상위추세(주·월)의 방향: 하락이면 신규 롱은 매우 조심

  • 최근 봉(1~3봉)의 거래량 유지 여부: 거래량이 다시 급감하면 신호 약함

  • 캔들 패턴 확인: 연속 음봉/긴 윗꼬리 출현 여부

  • 지표 확인: RSI/MFI가 과열인지, ATR이 어느 정도인지(손절폭 산정)

  • 외부 요인 확인: 주요 뉴스·글로벌 시세 차이·거래소 공지 등


8) 권장 우선 행동(요약)



  1. 현재(0.000765 부근): 단기 급등 후 조정·횡보 구간 — 관망 우선(확인 후 소규모 진입 권장).

  2. 보유자: 일부(30~50%) 익절 고려, 잔여는 엄격 손절 설정.

  3. 신규 진입자: 확인(거래량 유지 + 가격 안정화) 후 소량 분할 진입 또는 소규모 스캘프만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