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bttcoin 25.10.24

neoniki1234 - 2025-10-24 00:48:42

BTT/KRW 차트를 바탕으로 꼼꼼하고 단계적인 절차적 사고(무엇을, 어떤 순서로, 왜 보는지)를 적용해 분석하겠습니다. 목표는 현재 구조 파악 → 핵심 레벨 도출 →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 제시 → 손절·포지션 규칙 제안까지입니다. 분석 시점은 이미지 기준 최신 상태(60분·240분·일봉)입니다.




분석 절차(어떤 순서로 무엇을 보는지)



  1. 상위 시간축(일봉) — 전체 추세와 구조(구름·장기 MA·거래량·ATR) 확인

  2. 중간 시간축(240분) — 반등의 신뢰성(구름·MA 정렬·거래량) 점검

  3. 단기(60분) — 진입·손절·타이밍(캔들 패턴·거래량·MFI·RSI·ATR) 구체화

  4. 핵심 지지·저항 산출 — 실전 진입/손절/목표 전략 수립

  5. 리스크 관리·체크리스트 적용 — 주문 전 최종 점검




1. 일봉(장기 구조) — 관찰·해석



  • 무엇을 봤나: 일목구름 위치, 장기(120·60 등) 이동평균 정렬, 큰 음봉들, 일봉 ATR과 거래량 패턴.

  • 관찰 결과 요약:

  • 가격은 일목구름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기 MA들이 하향 정렬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하락 추세’가 유지됩니다.

  • 최근 큰 하락 이후 여러 차례 약한 반등이 있었으나 일봉 기준 구름을 상향 돌파하지 못해 추세 전환 신호는 미확인입니다.

  • 일봉 ATR은 과거에 비해 변동성 확대 구간을 거쳤고 현재도 변동성은 완전히 낮아지지 않았습니다.

  • 의미(투자적 결론):

  • 장기적 관점에서 적극적인 롱 진입보다는 ‘추세 전환(구름/장기MA 돌파 + 거래량 동반)’ 확인을 기다리는 것이 안전합니다.




2. 240분(중기) — 관찰·해석



  • 무엇을 봤나: 240분 구름·전환선·후행스팬 위치, MA 정렬, 반등 시 거래량의 지속성.

  • 관찰 결과 요약:

  • 240분 차트에서도 가격은 구름 아래에 머물며 구름 하단과 MA들이 저항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반등 시도가 있었으나 구름/MA 레인지에서 누르는 패턴이 반복됐고, 거래량 증가가 일시적이어서 지속성은 약합니다.

  • 의미:

  • 중기 전환을 보려면 240분 구간에서 구름 상향 돌파 또는 단기 MA가 중기 MA 위로 교차하는 명확한 신호와 거래량 동반이 필요합니다.




3. 60분(단기) — 관찰·해석 (진입·손절 관점)



  • 무엇을 봤나: 최근 60분 캔들 시퀀스(연속 음봉·꼬리), 볼린저(상·하단), MFI·RSI 수준, ATR(60분), 거래량 바.

  • 관찰 결과 요약:

  • 60분 차트는 연속 음봉이 이어지며 단기 MA들이 하향 정렬되어 있습니다. 일부 캔들에서 하단 꼬리가 관찰되어 하방 탐색(저가 매수 탐색)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 MFI·RSI는 저점권으로 단기 반등의 가능성은 있으나, 상위 시간축 추세가 하락이라 신뢰도는 제한적입니다.

  • 단기 ATR은 급락 이후 약간의 변동성 회복을 보이며, 반등 시 급등락이 발생할 여지가 있습니다.

  • 의미:

  • 단기 트레이드는 소규모·단타로 가능하나 반드시 거래량 동반 양봉 확인 후 진입하고 손절을 엄격히 적용해야 합니다.




4. 핵심 지지·저항(실전 레벨)


(이미지 기준 현재가 약 0.000750 전후)

- 단기 지지: 0.000732–0.000740 구간(최근 60분 저점 및 꼬리)

- 즉시 저항(단기): 0.000750–0.000760(현재 레인지 상단)

- 중기 저항: 0.000770–0.000800(240분 구름·MA 밀집 구간)

- 장기 저항: 0.00085 이상(일봉 구름/장기 MA 위치)

- 구조적 하방 여지: 일봉 기준 더 낮은 구조적 저점(차트상 이전 큰 저점)으로 추가 하락 가능




5. 조건부 매매 시나리오(단계적·구체적)


공통 전제: 상위(일봉) 추세가 하락인 상태에서는 롱은 보수적·분할로, 숏은 경험자만(손절 엄격).



  • 시나리오 A — 보수적 스윙(권장)

  • 진입 조건: 일봉에서 구름을 확실히 돌파(종가 기준) + 240분에서 거래량 동반 상승 확인.

  • 진입 방식: 돌파 확정 뒤 3단계 분할 진입(초기 1/3 → 추가확인 후 1/3 → 추세가 확실하면 나머지).

  • 손절: 일봉 직전 구조적 저점(또는 일봉 ATR×1.5) 하회 시.


  • 목표: 1차 0.00077–0.00080(중기 저항), 2차 0.00085 이상(장기 저항)에서 분할 익절.




  • 시나리오 B — 단기 데이 트레이드



  • 진입 조건: 60분에서 강한 양봉 + 거래량 급증 + MFI/RSI 동반 상승.

  • 손절: ATR(60분)×1.0~1.5 또는 직전 60분 저점(예: 0.000732 하회 시).


  • 목표: 0.000750–0.000760 구간(단기 저항)에서 부분익절, 남은 포지션은 매우 보수적으로 처리.




  • 시나리오 C — 숏(고위험)



  • 진입 조건: 240분 또는 일봉에서 반등 실패 후 재하락(구름·MA 저항 유효) 확인.

  • 손절: 반등이 강해 구름 상향 돌파 시(또는 진입가 대비 ATR×1.5) 즉시 정리.

  • 목표: 1차 0.000732–0.000740(단기 지지), 이탈 시 더 낮은 구조적 저점으로 분할 익절.




6. 리스크 관리·포지션 계산 예시



  • 원칙: 한 거래의 최대 허용 손실을 계좌의 1~3%로 제한 권장.

  • 계산 예시(간단):

  • 계좌 100만 원, 허용 손실 2% = 2만 원.

  • 손절폭이 진입가 대비 5%라면(예: 진입 0.000750, 손절 0.000713), 허용 가능한 포지션 금액 = 2만 ÷ 0.05 = 40만 원(이론상).


  • 실제론 레버리지·수수료·슬리피지·심리 고려해 더 보수적으로(예: 포지션 규모를 계산값의 40–60% 수준으로 제한) 설정할 것.




  • 주문 규칙: 손절가·목표가를 반드시 사전 주문으로 입력, 감정 개입으로 손절 미이행 금지.






7. 매매 전 체크리스트(최종 점검)



  • 일봉: 구름·장기MA의 정렬 상태(하락 → 관망).

  • 240분: 거래량 동반한 지속적 상승 여부(반등 신뢰성 확인).

  • 60분: 진입 캔들에 거래량·MFI·RSI가 일관된 신호인지.

  • 시장 컨텍스트: 비트코인·알트 전체 흐름과 뉴스(거래소 이슈·대형 체결) 체크.

  • 주문 세팅: 손절·목표·포지션 크기 사전 입력 확인.




8. 권장 즉시 행동(우선순위)



  1. 현재(제공 이미지 기준 약 0.000750) 상황: 상위 하락 추세 지속으로 ‘관망(대기)’을 권장합니다.

  2. 단기 트레이드 기회: 60분에서 거래량 동반 강한 양봉 발생 시 소규모 진입 가능 — 손절은 매우 엄격히 설정하십시오.

  3. 중·장기 진입: 일봉과 240분에서 동시 신호(구름 돌파 + 거래량) 확인 후 분할매수로 접근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