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bttcoin 25.10.11

neoniki1234 - 2025-10-11 00:46:03

BTT/KRW 60분·240분·일봉 차트 절차적 분석


올려주신 캡처(60분·240분·일봉)를 근거로 구조 → 수급/거래량 → 변동성(ATR·밴드) → 모멘텀(MFI·RSI) → 가격 레벨 → 시나리오/전략 → 체크리스트 순으로 단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1) 가격 구조(시장 구조와 패턴)



  • 일봉

  • 큰 장대 음봉으로 하단 갭 출력 후 종가가 저가 부근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중·장기 이동평균(20·60·120) 모두 가격 위에 위치하고 기울기는 하락으로, 중기 하락 추세 재개 신호가 강합니다.


  • 최근 박스 하단 영역까지 단번에 밀리며 “지지 붕괴 후 첫 멈춤” 단계로 보입니다.




  • 240분



  • 장대 음봉 1개로 박스 하단대까지 직행했고, 종가가 저가대에 고착되었습니다. 이 구간에서 반발 매수보다는 “데드캣 바운스(짧은 반등)” 확률이 높은 전형적 약세 패턴입니다.


  • 이동평균선이 위에서 덮는 하향 정렬. 상단 리테스트가 나와도 첫 저항은 매우 낮게 형성됩니다.




  • 60분



  • 연속 음봉 후 마지막에 대형 거래량이 터지며 저가 갱신, 종가가 저가 근처에서 마감. 단기 과매도 반등 여지는 있으나, 구조적으로는 “리바운드 후 재시험” 시나리오 우위입니다.


요약: 전 타임프레임 동시 하방 재개. 일단 “급락 후 첫 되돌림(약한 반등) → 재하락 테스트”의 교과서적 흐름을 우선 가정하는 게 합리적입니다.




2) 수급/거래량



  • 하락 봉에서 거래량이 급증했고, 직전까지의 반등 구간에서는 거래량이 희박했습니다. 이는 매도 주도 하강의 전형입니다.

  • 일봉에서도 큰 음봉과 함께 체결량이 늘었으나, 다음 봉의 연속 확장 여부가 관건입니다. 연속 확장이 나오면 추가 하락 압력이 유지될 공산이 큽니다.


해석: 단기 반등이 나와도 매수 주도의 추세 전환으로 보기 어렵고, 상단 저항에서 재차 매도 유입 가능성이 큽니다.




3) 변동성(ATR)과 볼린저 밴드



  • ATR(60분·240분·일봉)이 모두 급상승 구간으로 전환되었습니다. 변동성 확장 국면이므로, 방향 추종형 전략의 승률이 오히려 높아지는 시점입니다.

  • 볼린저 밴드 하단을 강하게 이탈 후 밴드 밖 체류 시간이 길었습니다. 통상 중심선(미드)까지의 되돌림이 한 번은 나오지만, 그 전에 하단 재터치가 반복될 수 있습니다.


전략적 함의: 변동성 확장 구간에서의 무리한 바닥매수는 비효율적입니다. 되돌림이 나와도 “리테스트 실패”를 확인하는 추세 추종(매도) 또는 확증 돌파 후 짧은 매수 접근이 유리합니다.




4) 모멘텀(MFI·RSI)



  • 60분

  • RSI가 30선 근처까지 급락 후 소폭 반등 시도. 여전히 약세권입니다.

  • MFI가 10대 후반→20대 초반으로 회복 시도하나, 거래량 구조상 매수 우위로 해석하긴 어렵습니다.

  • 240분

  • RSI 30대 초반, 과매도 인접. 반등 여지는 있으나 추세 반전 신호는 아닙니다.

  • MFI 20대 근처로 약세 수급.

  • 일봉

  • RSI가 30대 중후반으로 하락하며 약세 전환 확인.

  • MFI는 높은 구간에서 꺾여 하향 중. 자금 유입 둔화가 명확합니다.


결론: 단기 관점에서 과매도 반등 가능성은 있지만, 중·상위 타임프레임 모멘텀은 약세로 일치합니다.




5) 핵심 가격 레벨 맵(근거: 캡처상의 수치대)



  • 지지

  • 1차: 0.000770~0.000780(현 저가 부근 완충대)

  • 2차: 0.000750대(심리 지지 후보)

  • 3차: 0.000720대(하락 확장 시 다음 하단 후보)

  • 저항

  • 1차: 0.000800~0.000810(60분 단기선/밴드 미드 근처 예상)

  • 2차: 0.000830~0.000840(240분 첫 강한 눌림대)

  • 3차: 0.000860~0.000880(일봉 단기선·이전 박스 하단 재진입 관문)


무효화(시나리오 전환) 트리거

- 하락 연장 유효화: 0.000770 이탈 후 0.000780 리테스트 실패

- 반등 전환 신뢰도 상승: 0.000840 위 60분 2봉 종가 안착 + 거래량(최근 20봉 평균 대비) ≥140%




6) 시나리오별 전략(실전형)



  • A. 추세 추종 매도(리테스트 실패형 우선)

  • 조건: 0.000800~0.000810 되돌림에서 음봉 전환 + 거래량 증가

  • 진입: 0.000800±5틱

  • 손절: 0.000812~0.000815 상회

  • 목표: 0.000780 1차, 0.000770 2차, 0.000755~0.000760 3차


  • 논리: 급락 후 첫 되돌림은 재차 매도 유입 빈도가 높음




  • B. 공세적 역추세 매수(짧게)



  • 조건: 0.000770~0.000780 터치 후 아래꼬리 + 체결량 증가(반전 캔들)

  • 진입: 0.000775~0.000780 분할

  • 손절: 0.000768 이탈

  • 목표: 0.000800 1차, 0.000810 2차


  • 유의: 과매도 해소 반등만 노리는 단타. 손절 엄수




  • C. 확인 매수(돌파 확인형)



  • 조건: 0.000840 위 60분 2봉 종가 안착 + 거래량 20봉 평균 대비 ≥140%

  • 진입: 0.000835~0.000840 눌림 재확인

  • 손절: 0.000826 종가 이탈

  • 목표: 0.000860 1차, 0.000880 2차


  • 논리: 가짜 돌파 회피, 신뢰도 높은 상방만 취득




  • 리스크/포지션



  • 1회 손실은 계좌의 0.5~1.0% 한도

  • 분할 진입 2회, 분할 청산 2~3회

  • 변동성 확장 구간에서는 손절가를 먼저 정하고 진입




7) 실시간 체크리스트



  • 가격: 0.000800 되돌림에서의 캔들 전환 여부, 0.000770 방어/이탈

  • 거래량: 반등 봉이 20봉 평균 대비 130~150% 이상인지(없으면 반등 신뢰 낮음)

  • 모멘텀: 60분 RSI 40→50 회복 여부(회복 실패 시 반등 둔화)

  • 변동성: ATR이 계속 상승하는데 양봉 동반이 아닌 경우 추격 매수 금지




결론



  • 현재 구조는 “급락 후 첫 멈춤”으로, 통계적으로는 되돌림(약한 반등) 이후 하단 재시험 가능성이 큽니다.

  • 가장 합리적인 운영은

  • 되돌림 저항(0.000800~0.000810)에서의 리테스트 실패를 이용한 추세 추종,

  • 혹은 0.000840 이상 확증 돌파 후 짧은 확인 매수입니다.

  • 바닥 단타는 0.000770~0.000780에서 명확한 반전 캔들과 거래량 증가가 동반될 때만 제한적으로 시도하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