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중국에 대한 오해

harryji - 2025-04-24 15:28:51


중국의 사업환경은 급속도로 많이 바뀌었습니다.

이미 10년 전에도 중국은 인건비와 제조비용이 더 이상 저렴한 국가가 아니었지만, 지금은 그러한 저렴한 비용의 국가가 아닌 것에 더해, 기술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고, 노동인력의 숙련도 및 제조 생태계는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중국에서의 사업 비용


중국 도시 근로자의 임금은 2020년 부터 5%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제조업은 2024년 1~3분기 기준으로 5.5% 상승했습니다.

과거 값싼 노동력을 제공했던, 중국 농촌의 유휴 노동력이 도시로 이미 흡수되었으며 노동력 성장률은 앞으로 지속 하락하면서 인건비는 더욱 올라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상운임의 변동성 그리고 항만 사용료 인상으로 제조업체의 물류 비용이 상당히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이후 공급망이 재편되고 물류 수요가 늘었고, 비용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형성되었습니다.


중국의 사업과 제조업의 강점


중국의 제조업은 단순제조를 훨씬 뛰어넘었고, 정밀 제조가 가능한 인재풀도 전 국가적으로 풍부합니다. 이러한 숙련된 인력은, 중국의 직업교육과 직업훈련 시스템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습니다.


제조업의 공급망과 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전자, 기계, 자동차 거의 전 분야에 걸쳐 공급망이 체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어서, 부품 조달과 생산이 매우 쉽고 제조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또한 각종 물류 인프라가 고도로 발달되어 있어서 물류이동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세계 최대 규모의 내수시장과 향후 확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인구 14억 규모는 초기 생산 물량 흡수처로 활용이 가능하고, 점차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소비 증가 잠재력이 높습니다.

그리고 디지털 결제와 이커머스가 발달해서 소비자들의 제품 접근성도 좋습니다.


리스크


앞서 언급한 인건비의 상승이 현재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닙니다.

노동 생산성 증가율을 상회하는 인건비의 상승으로 제조업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여전한 규제의 위험도 높습니다. 환경과 노동분야 그리고 데이터 관련한 법규가 강화되면서 관련 비용과 위험비용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규제와 정책은 수시로 바뀌고 해석도 달라서 사업운영의 지속성을 저해 시킵니다.


지적재산권 보호도 매우 취약한 부분입니다. 미국과 유럽의 IP 침해는 매우 우려되는 수준이고 EU는 로열티 정책에 대해 WTO제소를 진행 중 입니다.


지정학적으로, 미중 무역전쟁의 위험이 상존하고, 대만과의 전쟁위험도 도사리고 있습니다. 외국기업에 대한 차별과 보복, 제재의 가능성은 항시 상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